반응형

2025년 7월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이더(Ether) 토큰이 거의 50%나 상승하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습니다. 투자자들은 스테이블코인, 토큰화, 기관 도입에 주목했는데, 이 분야들이 바로 이더리움이 다른 경쟁 플랫폼들과 차별화되는 지점이었기 때문입니다.

 

최근 'GENIUS 법안' 통과는 스테이블코인과 암호화폐 자산 시장에 중대한 분기점이 되었습니다. 아직 전체 시장 구조에 대한 입법은 더 많은 시간이 걸리겠지만, 미국 규제 기관들은 암호화폐 투자 상품에 스테이킹을 허용하는 등의 다른 정책 변화를 통해 디지털 자산 산업을 계속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암호화폐 자산 가치가 잠시 주춤할 수도 있지만, 저희는 앞으로 몇 달간 이 자산군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자산은 블록체인 혁신에 대한 노출을 제공하며, 지속적인 달러 약세와 같은 전통 자산의 특정 위험으로부터도 안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트코인, 이더, 그리고 다른 많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수요는 계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7월 18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포괄적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GENIUS 법안'에 최종 서명했습니다. 이 법안의 제정은 암호화폐 자산군에 있어 '시작의 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공 블록체인 기술이 실험 단계를 넘어 규제된 금융 시스템의 중심으로 나아가고 있기 때문이죠. 이제 블록체인이 주류 사용자들에게 이점을 가져다줄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은 끝났고, 규제 당국은 산업 성장을 위한 소비자 보호와 금융 안정성 장치를 마련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GENIUS 법안 통과에 환호했고, 7월 내내 우호적인 거시경제 시장 상황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대부분 지역의 주식 지수가 상승했고, 미국 하이일드 회사채, 신흥국 채권과 같은 고위험 시장 부문이 채권 수익률을 주도했습니다. 변동성 감소로 이득을 보는 전략 또한 좋은 성과를 냈습니다. 투자 가능한 디지털 자산의 시가총액 가중 지수인 FTSE/Grayscale 암호화폐 섹터 시장 지수는 15% 상승했고, 비트코인 가격은 8% 올랐습니다. 그러나 단연 최고의 성과를 보인 것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이더(ETH) 토큰으로, 7월 한 달 동안 49%나 급등했으며, 4월 초 저점 이후로는 150% 이상 상승했습니다.

 

이더리움, 돌아왔다

이더리움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가장 큰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이며, 블록체인 기반 금융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까지 이더의 가격은 비트코인은 물론 솔라나 같은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에 비해 크게 저조했었죠. 이 때문에 이더리움의 개발 전략과 업계 내 경쟁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이더리움과 이더에 대한 다시 불붙은 열기는 스테이블코인, 토큰화, 기관의 블록체인 도입이라는 세 가지 핵심 분야에 대한 시장의 관심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 분야들은 이더리움이 다른 경쟁자들과 차별화되는 지점이죠. 예를 들어, 이더리움은 레이어2 네트워크를 포함해 전체 스테이블코인 잔액의 50%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 거래의 약 45%(달러 가치 기준)를 처리합니다. 또한, 분산 금융(DeFi) 프로토콜에 예치된 전체 가치의 약 65%, 토큰화된 미국 국채 상품의 거의 80%를 이더리움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 크라켄, 로빈후드, 소니를 포함한 많은 기관들이 암호화폐 관련 사업을 구축할 때 이더리움을 선호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과 토큰화 자산의 채택이 증가하면 이더리움뿐만 아니라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에도 이익이 될 것입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스테이블코인이 더 낮은 비용, 빠른 정산, 높은 투명성을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결제 산업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고 믿습니다. 스테이블코인 관련 수익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예: 테더, 서클)가 얻는 순이자마진(NIM)과 거래를 처리하는 블록체인이 얻는 거래 수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분야에서 이미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이더리움 생태계는 스테이블코인 채택 증가를 통해 더 높은 거래 수수료 수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토큰화(전통 자산을 온체인으로 가져오는 과정)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현재 토큰화된 자산 시장 규모는 약 120억 달러로 매우 작지만, 앞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토큰화된 미국 국채가 현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더리움이 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대체 자산 분야에서는 아폴로 글로벌(Apollo Global)이 시큐리타이즈(Securitize)와 파트너십을 맺고 온체인 신용 펀드를 출시했습니다. 또한, 로빈후드(Robinhood)는 스페이스X, 오픈AI와 같은 비상장 기업의 토큰화된 주식을 도입했고, eToro는 이더리움 기반 주식 토큰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아폴로의 상품은 여러 블록체인에서 이용 가능하지만, 로빈후드와 eToro의 토큰화된 주식 상품은 이더리움 생태계 내에서 제공될 예정입니다.

이더리움 ETP의 투자 흐름과 그 이상

이더리움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현물 이더(ETH) 상장지수상품(ETP)으로 의미 있는 순유입을 이끌어냈습니다. 7월 한 달 동안 미국 상장 현물 ETH ETP에는 54억 달러의 순유입이 발생했는데, 이는 작년 상품 출시 이후 가장 큰 규모입니다. 이들 ETH ETP는 현재 약 215억 달러, 즉 총 유통 공급량의 약 5%에 해당하는 600만 이더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CFTC의 '거래자 포지션 보고서(Commitment of Traders Report)' 데이터에 따르면, 이 중 10억~20억 달러만이 헤지펀드의 '베이시스 트레이드(basis trade)'를 반영하며, 나머지는 장기 투자 자금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러 상장 기업들도 주식 상품을 통해 이더 토큰에 접근할 수 있도록 ETH를 축적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큰 ETH 보유 상장 기업은 비트마인 이머션 테크놀로지스($BMNR)와 샤프링크 게이밍($SBET)입니다. 이 두 회사를 합치면 100만 ETH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총 39억 달러에 달합니다. 세 번째 상장 기업인 BTCS($BTCS)는 7월 말 보통주 및 우선주 발행을 통해 20억 달러를 추가로 조달해 ETH를 매입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더리움 기업 보유 전략을 가진 회사들의 매수 압력은 ETH ETP로의 순유입과 함께 가격 상승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이더리움은 7월 한 달 동안 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며 자산에 대한 투기적 관심이 증가했음을 보여줬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상장된 전통적인 선물 계약에서 ETH 선물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OI)은 비트코인(BTC) 선물 OI의 약 40%까지 증가했습니다. 무기한 선물 계약에서는 ETH OI가 BTC OI의 약 65%까지 증가했으며, 이달 동안 ETH 무기한 선물의 거래량도 비트코인을 넘어섰습니다.


알트코인의 열기

7월에는 모든 암호화폐 시장 부문에서 가치가 상승했습니다. 암호화폐 섹터 관점에서 볼 때, 이더의 49% 상승에 힘입어 '스마트 컨트랙트' 시장 부문이 가장 좋은 성과를 냈고, 몇몇 토큰의 약세로 인해 '인공지능' 시장 부문이 가장 저조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7월 동안 많은 암호화폐 자산의 선물 미결제약정과 펀딩 비율(레버리지 롱 포지션 금융 비용)이 증가했는데, 이는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도가 높아지고 투기적 순매수가 늘었음을 시사합니다.

강한 수익률을 기록한 후에는 항상 가치가 하락하거나 잠시 주춤할 위험이 있습니다. GENIUS 법안 통과는 암호화폐 자산군에 중요한 긍정적 촉매제였으며, 이는 강력한 절대 및 위험 조정 수익률을 정당화했습니다. 의회는 암호화폐 시장 구조 법안도 검토 중이며, 하원에서 발의된 'CLARITY 법안'은 7월 17일 초당적 지지를 얻어 하원을 통과했습니다. 그러나 상원 역시 자체적인 시장 구조 법안을 검토하고 있어, 9월 이전까지는 큰 진전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결과적으로 단기적으로는 더 높은 암호화폐 가치를 뒷받침할 입법 촉매제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희는 앞으로 몇 달간 이 자산군에 대한 매우 밝은 전망을 계속 보고 있습니다. 첫째, 입법 없이도 규제적인 순풍은 계속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백악관은 최근 미국 내 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94가지 구체적인 권고안을 담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상세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중 60가지는 규제 기관의 관할 하에 있어, 스테이킹 및 더 넓은 범위의 현물 암호화폐 ETP와 같은 투자 상품 개선은 규제 당국의 주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자본을 시장으로 끌어들일 수 있습니다.

둘째, 거시적 배경이 암호화폐 자산에 계속 우호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혁신에 대한 노출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통 자산이 가진 특정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습니다. 7월에 트럼프 대통령은 암호화폐 관련 법안 외에도 향후 10년간 대규모 연방 정부 재정 적자를 고착화하는 'One Big Beautiful Bill Act'에 서명했습니다. 그는 또한 연준에 금리 인하를 요구하고, 달러 약세가 미국 제조업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다양한 제품과 교역 파트너에 대한 관세를 인상했습니다. 대규모 재정 적자와 낮은 실질 금리는 달러 가치에 계속 부담을 줄 수 있으며, 비트코인과 이더 같은 희소성 있는 디지털 자산은 이러한 환경에서 이점을 얻고 지속적인 달러 약세 위험에 대한 부분적인 헤지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핵심사항 5가지

  • 이더리움의 급등: 이더(ETH) 토큰이 7월 한 달간 49%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 GENIUS 법안 통과: 트럼프 대통령이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위한 GENIUS 법안에 서명하며 암호화폐 시장의 제도권 진입을 알렸습니다.
  • 기관 투자 확대: 현물 이더 ETP에 54억 달러의 순유입이 발생하고, 상장 기업들도 ETH를 대규모로 매입하며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졌습니다.
  • 이더리움 생태계의 강점: 이더리움은 스테이블코인, 토큰화, 기관 도입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며 경쟁 우위를 입증했습니다.
  • 우호적인 거시경제 환경: 대규모 재정 적자, 낮은 실질 금리, 잠재적인 달러 약세 등 거시적 요인들이 암호화폐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체 요약

2025년 7월, 이더리움(ETH)은 49%에 달하는 폭발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시장의 중심에 섰습니다. 이는 미국에서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인 'GENIUS 법안'이 통과되고, 현물 이더 ETP에 54억 달러라는 기록적인 자금이 유입되는 등 기관 투자와 규제적 명확성이 높아진 덕분입니다. 이더리움은 스테이블코인과 토큰화된 자산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유지하며 그 가치를 다시 한번 증명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시장 구조 법안의 진전이 늦어질 수 있지만, 백악관의 디지털 자산 보고서와 같은 규제적 순풍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대규모 재정 적자와 낮은 실질 금리 같은 우호적인 거시경제 환경은 비트코인과 이더 같은 희소성 있는 디지털 자산의 가치를 더욱 높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 글은 Research Team이 2025년 8월 1일에 작성한 'July 2025: Ethereum Comes Alive'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암호화폐 시장의 가치는 비교적 잠잠했던 2025년 6월, 시장의 관심은 펀더멘털, 그중에서도 스테이블코인 관련 긍정적인 발전들에 집중되었습니다. 마치 '스테이블코인의 여름'이 찾아온 듯한 분위기였죠.

 

미국에서는 규제 대상인 '결제용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는 'GENIUS 법안'이 초당적 지지를 받으며 상원을 통과해 하원으로 넘어갔습니다. 이와 별개로, 미국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서클(Circle)이 상장하며 주가가 급등했는데요, 이와 동시에 마스터카드와 비자의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을 보이며 기존 디지털 결제 네트워크에 대한 잠재적 파장을 보여줬습니다. 아마존과 월마트 같은 대기업들도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려왔습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커런시 암호화폐 섹터'와 '금융 암호화폐 섹터'는 전체 암호화폐 시장을 뛰어넘는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규제 불확실성 해소와 분산금융(DeFi) 기술의 광범위한 도입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뉴욕 시장 선거에 대한 관심 덕분에 예측 시장인 '폴리마켓(Polymarket)'도 추가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저희는 규제 명확성 향상과 함께 재정 적자 확대, 잠재적인 금리 인하와 같은 거시경제적 배경이 2025년 하반기에도 암호화폐 자산군을 계속해서 뒷받침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6월은 부정적인 뉴스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불일치는 두 가지 시장 배경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째, 시장이 여러 난관에 부딪혔지만,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했다는 점입니다. 미국 경제는 둔화되는 조짐을 보였지만, 국제 무역이 멈추지는 않았습니다. 관세 위협은 여전하지만, 미 백악관은 중국과의 무역 협정을 발표했고, 중동의 군사적 분쟁에도 불구하고 유류 운송은 큰 차질을 빚지 않았습니다. 금융 시장은 최악의 상황까지 포함한 모든 가능한 결과를 가격에 반영하기 때문에, 단순히 극단적인 위험만 피하더라도 자산 가치는 상승할 수 있습니다.

 

둘째, 관세 인상 외에는 전반적으로 거시경제 정책이 우호적입니다. 낮은 실업률에도 불구하고 미국 연방 정부는 대규모 재정 적자를 내고 있으며, 최근 상원을 통과한 'One Big Beautiful Bill Act(OBBBA)'는 이러한 경기 부양책 대부분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연준은 올해 하반기에 통화 정책을 완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우호적인 거시 정책은 관세, 지정학적 갈등, 기타 문제로 인한 시장 변동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월 자산 수익률은 성장 친화적인 경향을 보였습니다. 신흥국(EM) 주식, 고수익 채권, 산업 금속은 위험 조정 기준(자산의 변동성을 고려한 수익률)으로 다른 시장 부문을 앞서며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도가 높아졌음을 보여줬습니다. 미국 달러는 1월 최고점 대비 약 10% 하락하며 약세를 이어갔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은 6월 한 달 동안 3% 상승했는데, 이는 비트코인 특유의 높은 변동성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입니다. 시가총액 가중치 기준인 FTSE/Grayscale 암호화폐 섹터 전체 시장 지수는 이달 중 1.5% 상승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의 북상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최근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획기적인 발전들을 '스테이블코인의 여름'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이 널리 사용되는 신흥국 대부분이 남반구에 위치해 지금이 겨울이라는 점에서 아이러니한 표현이죠. 하지만 최근 규제 변화와 기업 도입 소식들이 미국과 같은 선진국으로 스테이블코인 활용을 확장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사실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상의 '디지털 달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조적으로는 머니마켓펀드와 유사하여, 미국 국채와 같은 안전한 담보로 뒷받침되는 거래 가능한 '안정적인 달러 가치'를 가진 상품입니다. 그러나 목적은 디지털 결제에 있습니다. 이미 우리는 당좌 예금과 같은 형태로 디지털 달러를 사용하고 있지만, 블록체인에 토큰화된 디지털 달러는 국경 없는 결제, 거의 즉각적인 정산, 낮은 수수료, 높은 투명성 등 블록체인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비자와 암호화폐 데이터 전문가들의 추정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은 월 8,000억 달러 규모의 디지털 거래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2024년 비자가 월 1조 1,000억 달러의 결제량을 처리한 것과 비교해볼 만한 규모입니다.

 

일반 은행 예금처럼 스테이블코인은 민간 기업이 발행합니다. 발행사는 국채와 같은 보유 자산에서 발생하는 이자와 스테이블코인(부채)에 지급하는 0%의 이자 사이의 차액을 수익으로 얻는 수익성 좋은 모델을 가지고 있죠. 미국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이자 두 번째로 큰 스테이블코인인 USDC를 발행하는 서클이 6월 4일에 상장했습니다(티커: $CRCL). 주식 투자자들은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회사의 주가는 공모가 31달러에서 월말 181달러까지 급등했습니다. 이 가격은 서클이 2024년 EBITDA의 150배 이상으로 거래된다는 의미로, 투자자들이 USDC 스테이블코인과 서클의 수익에 대한 높은 성장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흥미롭게도, 서클의 IPO 성공은 전통적인 디지털 결제 관련 기업인 비자와 마스터카드의 주가 약세와 동시에 나타났습니다.

 

한편, 미국 의회는 포괄적인 스테이블코인 법안에 대한 추가적인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GENIUS 법안(미국 스테이블코인을 위한 국가 혁신을 안내하고 확립하는 법안)'은 6월 17일 상원을 초당적 지지로 통과하여 하원으로 넘어갔습니다. 이 법안은 예비 자산 구성 요건, 자금세탁방지 규정 준수, 공시 및 감사 규칙을 포함하여 미국 시장에서 결제용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또한, 이자 지급형 스테이블코인(상업은행 예금과 경쟁할 수 있다는 이유로)과 비금융 발행사의 발행을 금지합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이자 지급형 스테이블코인이 미국 소비자에게 이익이 될 수 있으므로 향후 법안이나 규제에서 재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더 넓게 보면, 이 GENIUS 법안은 소비자 보호와 금융 안정성을 위한 합리적인 안전장치를 포함하면서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규제 명확성 진전에 힘입어, 많은 비(非)암호화폐 기업들도 스테이블코인 관련 투자나 연구를 최근 발표했습니다. 너무 많아서 일일이 언급하기 어렵지만, 상업은행(예: JP모건, 소시에테제네랄), 시장 인프라 제공업체(예: DTCC), 핀테크(예: 쇼피파이, 피서브, 리볼루트), 그리고 비금융 기업(예: 아마존, 월마트)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은 모두 선도적인 기업들이며, 디지털 결제의 효율성과 비용 절감 측면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잠재력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규제 명확성이 수익률을 견인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디지털 자산에 대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관련 실무 그룹에 180일 이내에 지원 정책 제안을 마련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정책 입안자들은 7월 말 마감 시한을 앞두고 바쁘게 변화들을 발표했습니다. 예를 들어, 증권거래위원회(SEC)는 6월 13일, 이전 행정부에서 초안을 작성했던 특정 분산금융(DeFi) 애플리케이션을 증권 거래소로 분류하려던 미완성 규칙을 철회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별개로, 연방 주택 금융청(Federal Housing Finance Agency) 윌리엄 풀테(William Pulte) 국장은 연방 주택 담보 대출 기관인 패니 매(Fannie Mae)와 프레디 맥(Freddie Mac)에 주택 구매자의 순자산에 디지털 자산을 포함하도록 대출 심사 기준을 검토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연준은 암호화폐 산업 일부에 대한 은행 접근을 제한했던 ‘평판 리스크’를 더 이상 감독 기준으로 고려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 부문별로 보면, FTSE/Grayscale 지수군에 따르면 '커런시 암호화폐 섹터'와 '금융 암호화폐 섹터'가 좋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커런시 암호화폐 섹터'의 상승은 비트코인 가격의 소폭 상승을 반영합니다. '금융 암호화폐 섹터' 내에서는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유니스왑(Uniswap), 에어로 드롬(Aerodrome), 메이플 파이낸스/시럽(Maple Finance/Syrup), 그리고 아베(Aave)가 가장 크게 기여했는데, 이들 모두 현재 그레이스케일 리서치 'Top 20' 목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이퍼리퀴드, 유니스왑, 에어로 드롬과 같은 분산형 거래소(DEX)는 이제 중앙화 거래소(CEX)와 가격 경쟁력이 있으며, 온체인에서 발행되는 다양한 자산 시장을 계속해서 지배할 것으로 보입니다.

 

저희의 견해로는 스테이블코인 외에 지난 1년간 예측 시장(prediction market)만큼 큰 성공을 거둔 암호화폐 애플리케이션은 없었습니다. 뉴욕 시장 선거, NBA 결승 7차전, 그리고 글로벌 분쟁에 대한 대중의 관심 덕분에 6월 말 폴리마켓에 대한 관심이 다시 급증했습니다. 폴리마켓과 칼시(Kalshi)라는 두 개의 가장 큰 예측 시장은 6월에 투자자들로부터 추가 자금을 확보했습니다. 폴리마켓은 피터 틸의 파운더스 펀드 등으로부터 2억 달러를 유치하며 10억 달러 이상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았고, 칼시는 패러다임 등으로부터 1억 8,500만 달러를 유치하며 20억 달러의 가치를 평가받았습니다.

 

거시적인 비트코인 수요는 지금까지 암호화폐 자산군을 움직이는 가장 중요한 동인이었지만, 6월의 여러 발전들은 스테이블코인, 분산형 거래소, 예측 시장과 같은 블록체인 기반 금융 기술의 폭넓은 가능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줍니다. 2025년 6월 전체 암호화폐 가치는 소폭 하락했지만, 산업의 펀더멘털은 앞으로 나아갔고, 저희는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점이 가치에 반영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더불어, 거시 경제 정책 배경은 앞으로도 우호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기적으로는 'One Big Beautiful Bill Act'가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곧 서명될 수 있습니다. 예산 전문가들은 이 법안이 향후 10년간 약 3조 달러의 연방 적자를 추가할 것으로 추정하며, 특정 만료 조항이 연장되면 5조 달러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에 금리 인하를 반복적으로 요구했습니다. 연준은 독립 기관이지만, 대통령은 내년에 새로운 연준 의장을 임명할 기회를 갖게 됩니다(상원 승인 필요).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 볼 때, 지속적인 재정 적자, 낮은 실질 금리, 그리고 잠재적인 미국 달러 약세는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자산군에 유리한 조합이 될 것입니다.


핵심사항 5가지

  • 스테이블코인의 규제 및 상장: GENIUS 법안이 상원을 통과하고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이 상장하여 규제 명확성과 시장성을 확보했습니다.
  • 전통 금융의 도전: 서클 상장 후 주가가 급등한 반면, 마스터카드와 비자의 가치는 하락해 스테이블코인의 경쟁력을 시사했습니다.
  • 거시경제적 우호적 환경: 대규모 재정 적자와 잠재적 금리 인하 등 거시 정책이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비트코인 및 시장 성과: 비트코인은 6월 3% 상승했으며, '커런시'와 '금융' 암호화폐 섹터가 시장 전체 수익률을 웃돌았습니다.
  • 폴리마켓의 성장: 예측 시장인 폴리마켓은 뉴욕 시장 선거 등 관심 이슈 덕분에 추가 투자를 유치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전체 요약

2025년 6월은 암호화폐 시장의 가치 변동이 크지 않았지만,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한 펀더멘털이 크게 발전한 '스테이블코인의 여름'으로 불립니다. 미국에서는 결제용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인 GENIUS 법안이 상원을 통과하며 시장에 규제 명확성을 제공했습니다. 동시에,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이 상장 후 주가가 폭등하며 비자, 마스터카드와 같은 기존 결제 기업들의 가치를 위협했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시장 상황에 힘입어 커런시 및 금융 암호화폐 섹터가 전체 시장을 능가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부정적인 뉴스에도 불구하고, 최악의 시나리오가 회피되고 대규모 재정 적자, 잠재적 금리 인하 등 우호적인 거시 정책이 암호화폐 시장을 지지했습니다. 6월의 여러 발전들은 비트코인 외에도 스테이블코인, 분산형 거래소, 예측 시장 등 다양한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글은 Research Team이 2025년 7월 1일에 작성한 'June 2025: Stablecoin Summer'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그레이스케일은 FTSE/Russell과 협력해 독자적으로 개발한 '암호화폐 섹터' 프레임워크를 통해 디지털 자산 시장의 현황과 수익률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2025년 2분기에는 가격 수익률과 펀더멘털 지표 변화가 섹터별로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최근 새롭게 추가된 인공지능 암호화폐 섹터는 총 24개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가총액은 약 150억 달러에 달합니다. 이 섹터는 2분기 동안 10% 상승률을 기록하며 준수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팀은 매 분기 '톱 20'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이 목록은 향후 분기에 잠재력이 높다고 판단되는, 다양한 암호화폐 섹터에 걸친 자산들로 구성됩니다. 이번 분기에는 **아발란체(AVAX)와 모르포(MORPHO)**가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톱 20 목록의 모든 자산은 가격 변동성이 매우 높아 높은 위험을 수반하므로 투자에 유의해야 합니다.

 

2분기 암호화폐 시장 동향: 혼재된 성과와 기술적 진전

암호화폐의 모든 자산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그 공통점은 거기까지입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소비자 금융, 인공지능(AI),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놀라운 소프트웨어 기술의 집합체입니다. 그레이스케일은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6가지 섹터로 구성된 '암호화폐 섹터'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있으며, 총 261개의 토큰을 포함하고 시가총액은 3조 달러에 이릅니다.

2분기에는 백악관의 '해방의 날(liberation day)' 관세 발표와 중동에서의 미군 작전 등 굵직한 사건들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섹터별 수익률은 엇갈렸습니다. 시장가치 가중치 기반의 '총시장지수'는 분기 동안 거의 변동이 없었습니다. 통화(Currencies) 섹터는 비트코인 가격이 30% 급등하면서 가장 뛰어난 성과를 냈습니다. 금융(Financials) 섹터와 인공지능(AI) 섹터도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소비자 및 문화(Consumer & Culture) 섹터는 밈코인과 게임 관련 토큰의 부진으로 하락했고, 유틸리티 및 서비스(Utilities & Services) 섹터 또한 전반적인 약세를 보였습니다.

블록체인은 기업이 아니지만, 경제 활동과 재무 상태를 유사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2분기의 온체인(on-chain) 활동 지표 또한 혼재된 결과를 보였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이 처리한 평균 트랜잭션 수는 연간 30% 증가해 초당 약 1,500건, 총 1억 3천만 건을 넘어섰습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지불한 트랜잭션 수수료는 전반적으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이전 분기 수수료의 주요 원천이었던 솔라나 기반 밈코인 거래 활동이 둔화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 톱 20: 신규 편입 자산

그레이스케일 리서치팀은 매 분기 수백 개의 디지털 자산을 분석하여 '톱 20' 목록을 선정합니다. 이 목록은 네트워크 성장, 향후 촉매제, 펀더멘털 지속 가능성, 토큰 가치 평가, 토큰 공급 인플레이션, 잠재적 리스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구성됩니다.

지난 분기 시장은 스태그플레이션과 거시경제적 리스크에 집중했으며, 이는 비트코인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또한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및 시장 구조 규제 진전은 이더리움과 탈중앙화 금융(DeFi) 관련 자산을 지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테마들은 이미 톱 20 목록에 잘 반영되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번 분기에는 새로운 테마보다는 프로토콜 자체의 펀더멘털과 관련된 두 가지 변화만 적용했습니다. 바로 **아발란체(AVAX)와 모르포(MORPHO)**를 새롭게 추가한 것입니다.

아발란체(AVAX): 아발란체는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블록체인 중 시가총액 기준 6번째로 큰 프로젝트입니다. 경쟁이 치열한 시장이지만, 최근 아발란체 생태계 내에서 '메이플스토리'라는 비디오 게임 온보딩 및 관련 스테이블코인 트랜잭션 등 독자적인 트랜잭션 볼륨 증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기적 채택 성장은 아발란체의 경쟁적 지위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모르포(MORPHO): 모르포는 이더리움과 베이스(Base) 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대출 프로토콜입니다. 지난 1년간 총 예치 자산(TVL)이 40억 달러 이상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하며, 대출 애플리케이션 중 두 번째로 큰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최근 모르포 V2를 통해 전통 금융 기관을 위한 DeFi를 선보이겠다고 발표하면서, 온체인 대출 활동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아발란체와 모르포를 추가하기 위해 이번 분기에는 **리도 다오(LDO)와 옵티미즘(OP)**을 제외했습니다. 두 프로젝트 모두 이더리움 생태계의 핵심이지만, 리도 다오는 중앙화된 스테이킹 제공자들과의 수수료 경쟁에 직면할 수 있고, 옵티미즘은 토큰인 OP로 발생하는 수수료 수익이 제한적이라는 점이 단기적인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인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사항 5가지

  1. 2025년 2분기 암호화폐 시장 성과는 혼재: 비트코인 가격 급등으로 '통화' 섹터가 강세를 보인 반면, '소비자 및 문화'와 '유틸리티 및 서비스' 섹터는 부진했습니다.
  2. AI 암호화폐 섹터의 성장: 새롭게 추가된 '인공지능 암호화폐 섹터'는 2분기에 10% 상승했으며, 총 24개 자산으로 시가총액은 약 150억 달러에 달합니다.
  3. 그레이스케일 '톱 20' 목록 업데이트: 향후 잠재력이 높은 자산으로 아발란체(AVAX)와 모르포(MORPHO)가 새롭게 선정되었습니다.
  4. 아발란체(AVAX)의 성장 잠재력: 비디오 게임 온보딩 등 독자적인 생태계 활동 증가가 나타나면서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내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5. 모르포(MORPHO)의 시장 점유율 확대: 탈중앙화 대출 프로토콜 모르포는 TVL을 두 배 이상 늘리고, 모르포 V2를 통해 전통 금융 기관으로의 확장을 모색하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전체 요약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2025년 2분기 암호화폐 시장이 섹터별로 엇갈린 성과를 보였다고 분석합니다. 비트코인이 30% 급등하면서 통화 섹터가 시장을 견인했지만, 다른 일부 섹터는 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최근 추가된 인공지능 암호화폐 섹터는 10%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임을 입증했습니다. 그레이스케일은 이번 분기 '톱 20' 목록에 아발란체(AVAX)와 모르포(MORPHO)를 새롭게 포함시켰습니다. 아발란체는 비디오 게임 온보딩과 같은 독자적인 생태계 성장이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했으며, 모르포는 탈중앙화 대출 시장에서 TVL을 크게 늘리고 전통 금융 시장으로의 확장을 시도하며 높은 잠재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반면, 리도 다오(LDO)와 옵티미즘(OP)은 단기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목록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이 글은 암호화폐 시장이 다양한 기술과 응용 사례를 바탕으로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이 이러한 변화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이 글은 Research Team가 2025년 6월 26일에 작성한 "Grayscale Research Insights: Crypto Sectors in Q3 2025"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2025년 5월, 거시경제적 수요와 우호적인 규제 환경이라는 두 가지 요소가 암호화폐 강세장을 계속 이끌면서 비트코인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끝나지 않는 재정 적자, 비트코인의 부상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 수요는 부분적으로 지속적인 재정 적자를 포함한 미국 거시경제 불균형에서 비롯됩니다. 적자 자체는 새로운 현상이 아니지만, 의회를 통과 중인 종합 세금 및 지출 법안(일명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은 미국을 지속 불가능한 재정 궤도에 올려놓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미국의 재정 리스크는 '비트코인 재무(Bitcoin treasury)' 기업들의 등장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비트코인을 대차대조표에 보유하는 상장 기업들을 의미하는데, 이들 기업의 시장 가치가 보유 비트코인 가치를 초과하는 현상은 전통 주식 시장 투자자들 사이에서 암호화폐 노출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비트코인 외의 다른 토큰에 대해서는 이러한 전략에 한계가 있을 수 있는데, 결국 투자자들이 현물 암호화폐 ETP(상장지수상품)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5월에는 또한 스테이블코인 및 시장 구조 관련 법안의 진전, 탈중앙화 거래소(DEX)인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의 눈에 띄는 성과,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 신원 인증 프로젝트인 월드코인(Worldcoin)이 "타임(Time)"지 표지를 장식하는 등 다양한 소식이 있었습니다.

 

시장의 희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약진

미국과 중국이 관세 갈등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합의하면서 주식 시장은 5월에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채권 시장은 정부의 높은 적자와 장기 채권 발행 증가로 인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비트코인과 전체 암호화폐 시장은 글로벌 주식과 유사한 위험 조정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비트코인은 11% 상승해 11만 2천 달러라는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고, 이더리움은 44%나 급등하며 비트코인 대비 부진했던 이전 성과를 만회했습니다.

투자자들이 명목 화폐 시스템의 신뢰성에 의문을 품을 때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5월은 바로 이러한 우려가 다시 주목받은 시기였습니다. 미국 하원에서 통과된 종합 세금 및 지출 법안은 향후 10년간 연방 재정 적자를 약 3조 달러 증가시킬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로 인해 무디스는 5월 16일 미국의 신용 등급을 'Aaa'에서 'Aa1'로 한 단계 강등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당장 디폴트 상태에 근접한 것은 아니지만, 지속 불가능한 부채 경로는 거시경제적 관리 부실의 위험을 높이고, 금과 비트코인처럼 주권과 무관한 가치 저장 수단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키우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재무" 기업, 새로운 투자 패러다임

현물 비트코인 ETP는 출시 이후 비트코인 수요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 되어 왔습니다. 5월에도 ETP를 통한 순유입액은 52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상장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대차대조표에 편입하는 '비트코인 재무(Bitcoin treasury)' 전략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 전략의 선구자인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5월에 약 2만 7천 비트코인(약 28억 달러)을 추가로 매입했습니다. 이 회사의 시장 가치가 보유 비트코인 가치를 훨씬 초과하는 것은, 주식 형태로 비트코인에 노출되고 싶어 하는 투자 수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상에 힘입어 더 많은 기업이 비트코인 외의 다른 디지털 자산까지 포함한 '암호화폐 재무'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 그룹은 25억 달러를 조달해 비트코인을 매입하겠다고 발표했고, 샤프링크 게이밍(SharpLink Gaming)은 이더리움 재무 기업이 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암호화폐 재무 기업들의 등장은 주식 시장에서 암호화폐 노출을 원하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줍니다.

규제 진전과 기술 혁신, 산업의 미래를 그리다

법안 측면에서는 백악관과 의회가 디지털 자산 규제에 대한 진전을 계속 이뤘습니다. 하원에서는 디지털 자산 시장 구조 법안 초안을 발표했고, 상원에서는 스테이블코인 법안(GENIUS Act)이 초당적 지지로 가결되면서 법제화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규제 명확성 증가는 기관 투자를 더욱 활성화시켰습니다. 코인베이스는 암호화폐 역사상 최대 규모인 29억 달러에 옵션 전문 거래소 데리빗(Deribit)을 인수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S&P 500에 편입되며 주류 금융 시장의 일원이 되었고, 다른 암호화폐 기업들도 활발한 M&A와 신규 서비스 출시를 이어갔습니다.

기술 분야에서는 이더리움의 핵심 토큰인 이더(ETH)가 5월 한 달 동안 비트코인을 크게 앞질렀습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토큰화된 자산, 탈중앙화 금융(DeFi)의 광범위한 채택이 스마트 계약 플랫폼 인프라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한편, 탈중앙화 거래소(DEX)인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의 HYPE 토큰은 대형 자산 중 가장 뛰어난 성과를 보였습니다. 하이퍼리퀴드는 무기한 선물 거래에 특화된 DEX로, 5월 거래량이 170억 달러를 돌파하며 이더리움, 트론, 솔라나 등 주요 스마트 계약 플랫폼의 일일 수익을 능가하기도 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AI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샘 올트먼이 설립한 월드코인(Worldcoin)은 AI 시대에 사람과 봇을 구별하는 '인간 증명(proof of personhood)'을 목표로 하며, a16z와 베인 캐피털 크립토로부터 1억 3,5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타임"지 표지를 장식하고 미국 시장에 진출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향후 몇 달 동안 암호화폐 시장은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와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비트코인 수요, 미국 내 규제 환경 개선,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 AI 혁신과 같은 트렌드에 의해 움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난 2년간 좋은 성과를 보여온 암호화폐 시장은 펀더멘털 개선에 힘입어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핵심사항 5가지

  1. 비트코인, 재정 적자 우려로 사상 최고가 경신: 미국 정부의 지속 불가능한 재정 적자가 비트코인 수요를 촉진하며 11만 2천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2. '비트코인 재무' 기업의 등장과 프리미엄: 상장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대차대조표에 편입하는 전략이 유행하며, 이들의 주식 가치는 보유 비트코인 가치보다 높게 형성되고 있습니다.
  3. 규제 환경 개선과 기관 투자 확대: 스테이블코인 및 시장 구조 법안의 진전과 함께 코인베이스의 데리빗 인수 등 대규모 기관 투자가 활발히 일어났습니다.
  4. 이더리움과 하이퍼리퀴드의 강세: 이더리움이 비트코인 대비 부진을 만회했고, 탈중앙화 거래소 하이퍼리퀴드는 거래량과 수익에서 주요 플랫폼을 능가하며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5. 월드코인과 블록체인 기반 AI의 부상: AI 시대에 인간 증명을 목표로 하는 월드코인이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고 "타임"지 표지에 실리는 등 블록체인 기반 AI 프로젝트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체 요약

2025년 5월, 비트코인은 미국의 지속적인 재정 적자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새로운 투자 대안으로 주목받아 11만 2천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이러한 거시경제적 요인과 함께, 기관 투자자들은 현물 비트코인 ETP뿐만 아니라 '비트코인 재무' 기업을 통해서도 암호화폐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인베이스가 데리빗을 인수하는 등 대규모 M&A가 이루어졌으며, 미국 의회에서는 스테이블코인 및 시장 구조 관련 법안이 진전을 보이며 규제 환경이 점차 명확해지고 있습니다. 한편, 기술 혁신 측면에서는 이더리움이 비트코인 대비 강세를 보였고, 탈중앙화 거래소 하이퍼리퀴드와 블록체인 기반 AI 프로젝트인 월드코인이 시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떠올랐습니다. 이처럼 거시경제적 불확실성, 규제 환경 개선, 그리고 기술 혁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의 펀더멘털은 더욱 견고해지고 있습니다.


이 글은 Research Team가 2025년 6월 2일에 작성한 "May 2025: U.S. Fiscal Risks Driving Bitcoin Demand"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2025년 4월은 미국 백악관이 새로운 관세를 도입하면서 50여 년 만에 가장 큰 글로벌 무역 정책 변화가 있었던 시기입니다. 이 격동의 시기, 비트코인은 금과 같은 다른 '가치 저장 수단'과 함께 가치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불확실성 속에서 빛나는 비트코인

미국 정부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 스태그플레이션의 위험, 그리고 잠재적인 달러 약세가 지속되면서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국 이러한 현상은 비트코인을 넘어 다른 디지털 자산으로도 확산될 것입니다.

4월은 무역 갈등 외에도 암호화폐 규제에 대한 명확성, 기관 투자 증가, 이더리움 재단의 개발 초점 변화,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 AI의 성장 등 다양한 소식이 있었던 한 달입니다.

1971년 8월, 닉슨 대통령은 수입품에 10%의 전면 관세를 부과하고 달러의 금 태환을 중단하는 '닉슨 쇼크'를 발표했습니다. 이 조치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지되어 온 브레턴우즈 체제를 끝내는 중대한 변화였습니다. 당시와 오늘날의 상황은 다르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무역의 판도를 바꾸려는 움직임은 1971년 닉슨 쇼크처럼 향후 경제와 금융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새로운 수익원과 분산 투자 대상을 찾아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긍정적인 점은 2025년 4월의 시장 성과가 비트코인과 다른 디지털 자산이 이러한 해결책의 일부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것입니다. 변동성이 컸던 4월, 비트코인 가격은 15% 상승했고, 암호화폐 섹터 지수는 11% 상승했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은 1% 하락했지만, 금과 일부 외화는 위험 조정 기준으로 비트코인과 비슷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관세와 무역 갈등은 비트코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오히려 중기적인 채택을 늘릴 수 있습니다. 첫째, 스태그플레이션은 주식 같은 전통 자산에는 해롭지만, 금과 같은 희소성 있는 상품에는 긍정적입니다. 비트코인 역시 현대의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둘째, 무역 긴장은 달러에 대한 기축 통화 수요를 약화시켜, 금, 다른 법정 화폐, 그리고 비트코인 같은 경쟁 자산이 성장할 여지를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기관들의 비트코인 사랑과 이더리움의 변화

상장 기업들의 비트코인 매입은 꾸준한 수요의 원천이 되고 있습니다. 기업 비트코인 투자의 선구자인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4월에 2만 5천 비트코인(약 24억 달러)을 추가로 매입했습니다. 이로써 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 총 발행량의 약 3%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그 가치는 50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또한, 테더, 비트파이넥스, 소프트뱅크, 캔터 피츠제럴드가 포함된 컨소시엄은 4만 2천 비트코인으로 초기 자본을 조달하는 '트웬티 원 캐피털'을 설립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무역 갈등이 시장의 주목을 받았지만, 규제 명확성 증가에 힘입어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기관 투자는 꾸준히 이어졌습니다. 전통 금융 기업들이 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암호화폐 네이티브 기업들이 전통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가지 트렌드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ING 은행의 스테이블코인 개발, 마스터카드의 스테이블코인 결제망 도입, 크라켄 거래소의 주식 및 ETF 거래 제공 계획 등이 그 예시입니다.

규제 소식으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상업은행의 암호화폐 활동에 대한 사전 통지 의무를 철회했습니다. 또한, 파월 의장은 암호화폐 산업이 주류로 편입되고 있으며, 의회에서 진행 중인 스테이블코인 법안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소식은 이더리움 재단의 개발 우선순위가 바뀌었다는 점입니다. 이더리움 레이어 1(메인넷 자체)의 확장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향후 몇 년간 연간 3배의 거래 처리량(TPS) 증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거래 수수료를 높이고 토큰 공급량을 줄여 이더리움 토큰 가격을 지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평가됩니다.

 

블록체인 기반 AI의 부상

매크로 이슈 외에, 많은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블록체인 기반 인공지능(AI) 또는 탈중앙화 AI(deAI)에 여전히 집중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제공업체 카이토에 따르면, 지난 3개월간 AI 관련 프로젝트가 암호화폐 산업 관심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습니다. 특히 비텐서(Bittensor) 생태계는 빠르게 확장되고 있으며, 그 토큰인 TAO의 성과도 두드러졌습니다.

암호화폐는 국경 없는 금융과 탈중앙화라는 비전을 공유합니다. 투자자들은 이미 비트코인의 이러한 속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이것이 전통 자산이 흔들리는 시기에 비트코인이 좋은 성과를 낸 이유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다른 암호화폐에도 존재하며, 관세와 무역 갈등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정부 정책의 불확실성,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그리고 달러 약세 가능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은 대체 투자처를 찾게 될 것이며, 이러한 자본 흐름은 비트코인과 더 넓은 암호화폐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핵심사항 5가지

  1. 비트코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 부상: 4월 무역 갈등 속에서 금과 함께 비트코인이 15% 상승하며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증명했습니다.
  2. 이더리움 재단의 개발 전략 변화: 이더리움 메인넷(L1)의 확장성에 집중하기로 결정, 장기적으로 토큰 가치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기관들의 비트코인 대량 매입: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비트코인 총 발행량의 3%를 보유하는 등 기업들의 비트코인 투자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4. 미국 규제 환경의 긍정적 변화: 연준이 은행의 암호화폐 활동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스테이블코인 법안 통과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5. 블록체인 기반 AI 프로젝트의 성장: 비텐서(Bittensor) 같은 탈중앙화 AI 프로젝트들이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으며 암호화폐 시장의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전체 요약

2025년 4월은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인해 글로벌 금융 시장에 큰 변동이 있었던 한 달이었습니다. 이러한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비트코인은 금과 함께 가치가 상승하며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공고히 했습니다. 이 글은 관세가 유발할 수 있는 스태그플레이션과 달러 약세가 비트코인과 같은 희소성 있는 자산에 대한 수요를 촉진할 것이라고 분석합니다. 또한, 기업들의 비트코인 대량 매입, 연준의 암호화폐 규제 완화, 그리고 스테이블코인 법안에 대한 기대감은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기관들의 신뢰를 높였습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이더리움 재단이 메인넷 확장성에 초점을 맞춘 개발 전략을 발표했고, 비텐서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 AI 프로젝트들이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으며 시장의 주요 트렌드로 부상했습니다. 이처럼 거시경제적 요인과 산업 내부의 긍정적 변화가 맞물려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글은 Research Team가 2025년 5월 1일에 작성한 "April 2025: Still Point in a Turning World"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최근 미국 정부가 새로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이후 비트코인 가격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중기적으로 보면, 관세와 무역 긴장 고조는 오히려 비트코인 채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태그플레이션, 달러 약세의 시대에 비트코인의 역할

첫째, 관세 인상은 스태그플레이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전통적인 자산의 수익률에는 부정적이지만, 금과 같은 희소성 있는 상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과거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에 비트코인은 존재하지 않았지만, 비트코인은 희소성 있는 '디지털 상품'으로, 현대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 점점 더 인식되고 있습니다.

둘째, 무역 긴장은 기축 통화인 미국 달러에 대한 수요를 약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다른 법정 화폐, 금, 그리고 비트코인 같은 경쟁 자산이 성장할 공간을 열어줄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정책 불확실성은 매우 높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자들은 지속적인 달러 약세와 목표치 이상의 인플레이션에 대비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합니다. 과거 미국의 심각한 무역 마찰이 해소되는 과정을 보면 이러한 현상들이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비트코인은 이러한 거시경제적 배경에서 이득을 볼 가능성이 높으며, 이것이 최근 하락장에서도 비트코인이 위험 조정 기준으로 주식 시장보다 나은 성과를 보인 이유일 수 있습니다. 또한, 1970년대 금과 마찬가지로, 오늘날 비트코인은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에 힘입어 시장 구조가 빠르게 개선되고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 투자자층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단기적 변동성, 장기적 잠재력

4월 2일, 백악관이 새로운 글로벌 관세를 발표한 이후 비트코인 가격은 완만하게 하락했습니다. 이 발표는 사실상 모든 자산에 영향을 미쳤지만, 4월 9일 비중국 국가들에 대한 상호 관세가 90일간 유예되면서 자산 시장은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습니다.

특히 비트코인의 하락폭은 위험 조정 기준으로 볼 때 상대적으로 작았습니다. S&P 500이 12% 하락한 동안 비트코인은 10% 하락하는 데 그쳤는데, 이는 비트코인이 깊은 하락장에서도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향후 글로벌 시장 전망은 백악관과 다른 국가들 간의 무역 협상에 달려 있습니다. 협상이 관세 인하로 이어질 수도 있지만, 무역 갈등이 심화될 수도 있습니다. 전통 시장의 변동성은 여전히 매우 높지만, 암호화폐 시장의 투기적 포지션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입니다. 따라서 거시경제적 리스크가 완화되면 암호화폐 가격은 빠르게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기적인 변동성을 넘어, 관세가 비트코인에 미치는 영향은 궁극적으로 경제와 국제 자본 흐름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관세 인상은 스태그플레이션을 야기하고, 이는 전통 자산에 불리하고 금과 같은 희소성 있는 상품에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비트코인이 금과 유사한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식된다면, 비트코인 또한 이 시기에 가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달러의 위기와 비트코인의 기회

관세와 무역 긴장은 중기적으로 미국 달러에 대한 수요를 약화시켜 비트코인 채택을 더욱 촉진할 수 있습니다. 총 무역 규모가 줄어들면 달러의 거래 수요가 감소하고, 다른 주요 국가와의 갈등이 심해지면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달러 수요도 약해질 수 있습니다.

많은 중앙은행들이 러시아에 대한 서방 제재 이후 금 매입을 늘렸습니다. 아직까지 이란 외에는 비트코인을 보유한 중앙은행은 없지만, 체코 중앙은행이 이를 검토하기 시작했고, 미국도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량을 구축했습니다. 달러 중심의 국제 무역 및 금융 시스템에 혼란이 생기면, 중앙은행들이 비트코인을 포함한 다양한 자산으로 외환 보유고를 다각화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1971년 닉슨 쇼크 당시, 닉슨 대통령은 10%의 전면적인 관세와 달러의 금태환 정지를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달러 가치는 1971년 2분기부터 1978년 3분기까지 27%나 하락했습니다. 우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최근 무역 긴장이 다시 한번 지속적인 달러 약세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결론적으로, 미국 정부의 정책은 지속적인 달러 약세와 목표치 이상의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거시경제적 환경은 주식 시장에는 도전적일 수 있지만, 금과 비트코인 같은 희소성 있는 상품에는 유리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친화적인 정책은 비트코인 시장 구조를 개선하고 투자자 기반을 확대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거시경제적 수요 증가와 개선된 투자 환경이 결합되면 향후 몇 년간 비트코인 채택은 더욱 활발해질 것입니다.


핵심사항 5가지

  1. 관세와 무역 긴장은 비트코인 채택에 긍정적: 단기적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중기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과 달러 약세를 야기해 비트코인에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입니다.
  2. 비트코인의 포트폴리오 다각화 효과: 최근 시장 하락장에서 비트코인은 주식 시장보다 위험 조정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적게 하락하며 분산 투자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3.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에 비트코인은 금과 유사: 과거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에 금이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듯, 희소성 있는 디지털 상품인 비트코인도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4. 달러의 기축 통화 지위 위협: 무역 갈등은 달러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켜 중앙은행들이 비트코인 같은 대체 자산으로 외환 보유고를 다각화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5. 미국 정부의 암호화폐 정책: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친화적 정책은 비트코인 시장 구조를 개선하고 투자자 기반을 확대하여 장기적인 성장을 지원할 것입니다.

전체 요약

2025년 4월, 미국의 새로운 관세 발표로 인해 암호화폐 시장은 단기적인 하락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이 글은 이러한 관세와 무역 긴장이 중기적으로 비트코인 채택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그 이유는 관세가 스태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이는 전통 자산에 부정적이지만 금과 같은 희소 자산에는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무역 갈등은 기축 통화인 달러의 위상을 약화시켜 중앙은행들이 외환 보유고를 다각화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때 비트코인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1970년대 닉슨 쇼크 이후의 달러 약세와 스태그플레이션 사례를 들며, 비트코인이 이러한 거시경제적 환경에서 금과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더불어,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친화적 정책은 비트코인 시장의 펀더멘털을 강화하고 투자자 기반을 확대하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 글은 Zach Pandl가 2025년 4월 9일에 작성한 "Market Byte: Tariffs, Stagflation, and Bitcoin"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2025년 3월, 암호화폐 시장은 겉보기에는 조용했지만, 그 내부에서는 기관들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 덕분에 기관들의 확신이 커지면서 M&A(인수합병) 활동이 늘어나고, 스테이블코인과 자산 토큰화에 대한 투자가 이어지는 등 전략적인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시장의 미묘한 하락세 속, 숨겨진 기회

암호화폐 가격은 3월 한 달 동안 소폭 하락했고, 연초 대비로는 더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이는 거시경제 전망이나 투자자들의 리스크 선호도 변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산업의 펀더멘털은 오히려 좋아지고 있죠.

관세나 정부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하지만, 이미 경기 둔화 전망은 어느 정도 시장에 반영된 상태입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팀은 정부의 대규모 지출 삭감이나 무역 전쟁, 경기 침체까지는 예상하지 않기 때문에, 암호화폐 시장의 전망을 여전히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암호화폐에 아직 투자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2025년 초부터 이어진 가격 하락이 장기적인 포지션을 구축하기에 매력적인 진입점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3월은 암호화폐 가격이 조금 하락했던 시기지만, 기관들의 활동이 가속화되는 여러 신호가 포착된 달이기도 합니다. 이는 11월 미국 대선 이후 시작된 연쇄 반응의 연장선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 암호화폐 정책이 바뀌면서, 기관들은 중기적인 전망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디지털 자산 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습니다.

 

기관들의 활발한 움직임, 4가지 핵심 트렌드

가격 측면에서는 비교적 조용했던 3월이었지만, 기관들의 활발한 활동에 대한 뉴스가 쏟아지며 디지털 자산 산업 전반에 걸친 변화를 잘 보여줬습니다.

1. 인수합병(M&A) 활동 증가 크라켄 거래소는 선물 거래 플랫폼인 닌자트레이더를 15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암호화폐 M&A 거래 중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이로써 크라켄은 미국과 해외에서 규제된 암호화폐 선물 및 파생상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죠. 블룸버그 통신은 코인베이스가 암호화폐 옵션 거래의 선두주자인 데리빗 인수를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는데, 이 또한 훨씬 더 큰 규모의 거래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TON 재단에 대한 4억 달러 투자, 아부다비 국부펀드 MGX의 바이낸스에 대한 20억 달러 투자 등 대규모 벤처 투자도 이어졌습니다. 지난 6개월 동안 총 투자액은 약 100억 달러로, 그 이전 6개월의 35억 달러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뛰어드는 기관들 올해 미국 의회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더 많은 기관이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피델리티와 트럼프 대통령의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출시를 계획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고, 여러 대형 핀테크 기업들도 스테이블코인 사업으로 진출했습니다. 핀테크 결제 기술 제공업체인 스트라이프는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전문 기업 브릿지를 인수했으며, 페이팔도 2023년 8월 자체 스테이블코인(PYUSD)을 출시해 현재 약 7억 2,500만 달러의 시가총액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3. 실물 자산 토큰화(RWA)의 부상 실물 자산 토큰화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데이터 플랫폼 RWA.xyz에 따르면, 3월에 토큰화된 자산(스테이블코인 제외)의 총액이 195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주로 블랙록의 토큰화된 국채 상품인 BUIDL의 성장에 힘입은 것으로, BUIDL의 시가총액은 20억 달러에 육박했습니다. 토큰화된 자산의 증가는 '기관 탈중앙화 금융(Institutional DeFi)'에 대한 수요를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인프라에 대한 투자도 늘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신원 확인이 가능한 분산형 거래소(DEX) 구조인 '검증된 풀(verified pools)'을 발표했고, 시큐리티즈는 에테나와 제휴해 DeFi에 '규제 준수 접근'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을 출시했습니다.

4. 기업들의 비트코인 투자 확대 점점 더 많은 기업이 비트코인을 대차대조표에 추가하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선구자인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2025년 3월에 29,000 비트코인(약 24억 달러)을 추가로 매입하여, 현재까지 총 275,000 비트코인(약 230억 달러) 이상을 축적했습니다. 비트코인 채굴업체들도 비트코인을 보유하거나 시장에서 직접 매수하고 있으며, 비디오 게임 유통업체 게임스톱도 비트코인을 재무 자산으로 추가하기로 이사회 승인을 받았습니다.

 

미국 정부의 비트코인 전략과 거시경제 리스크

무엇보다 중요한 소식은 미국이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량'을 구축했다는 점입니다. 3월 6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행정명령은 비트코인을 비축 자산으로 다루는 '최초의 국가 중 하나가 되는 것'이 전략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한 데 따른 조치입니다. 이 명령에 따라 정부 기관들이 보유한 모든 비트코인은 비축량으로 편입되며, '판매되지 않고', 재무부와 상무부 장관은 추가 비트코인을 '획득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해야 합니다.

이 발표는 즉각적인 비트코인 매입을 포함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부 시장 참여자들을 실망시켰지만, 장기적으로는 비트코인과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을 전략적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미국의 태도가 다른 나라들의 정책 변화를 촉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정책 변화가 주목되며, 이는 전 세계적인 비트코인 채택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시경제적 리스크도 존재하지만, 시장은 이미 이러한 리스크를 상당 부분 반영했습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팀은 암호화폐 산업의 긍정적인 펀더멘털과 전반적인 시장 환경을 고려할 때, 여전히 시장 전망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핵심사항 5가지

  1. 기관들의 암호화폐 시장 진출 가속화: 미국 정책 변화에 힘입어 기관들이 M&A, 투자 등을 통해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2. 가격 하락은 새로운 투자 기회: 암호화폐 가격이 하락했음에도 산업 펀더멘털은 개선되고 있어, 장기적인 투자를 시작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3. 미국,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량' 구축: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비트코인을 비축 자산으로 지정하며 국가적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4. 활발한 M&A와 벤처 투자: 크라켄의 닌자트레이더 인수 등 대규모 M&A와 벤처 투자가 급증하며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5. 스테이블코인 및 RWA 시장 성장: 스테이블코인 규제 기대감과 블랙록의 BUIDL 같은 실물 자산 토큰화 상품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전체 요약

2025년 3월, 암호화폐 시장은 가격 면에서 소폭 하락했으나, 미국 정책 변화로 인한 기관들의 활발한 활동이 두드러진 한 달이었습니다. 크라켄과 코인베이스의 대규모 M&A, 피델리티와 페이팔 같은 기업들의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 그리고 블랙록의 BUIDL로 대표되는 실물 자산 토큰화 시장의 급성장이 목격되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량' 구축을 명령하며 비트코인을 국가적 전략 자산으로 지정한 것은 향후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중요한 사건입니다. 거시경제적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암호화폐 시장의 펀더멘털 개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최근의 가격 하락이 장기 투자자에게는 매력적인 진입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글은 Research Team가 2025년 3월 31일에 작성한 "March 2025: Institutional Chain Reaction"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암호화폐 시장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2025년 1분기, 암호화폐 시장은 기술주와 다른 위험 자산들과 함께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도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건재함을 과시했고, 새로운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들이 2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하며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 팀은 이러한 변화를 면밀히 분석하고, 2025년 2분기에 주목해야 할 핵심 자산들을 선정했습니다. 과연 어떤 변화가 있었고, 우리는 무엇에 주목해야 할까요? 함께 자세히 알아보시죠.

2025년 1분기 암호화폐 시장 동향: 비트코인은 건재, 솔라나는 주춤

2025년 1분기 암호화폐 시장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FTSE/Grayscale 암호화폐 섹터 지수와 기술주, 기타 위험 자산들이 함께 침체기를 겪었죠. 그레이스케일 리서치 팀이 자체적으로 산출한 시장 가중 암호화폐 섹터 가격 지수는 3월 21일 기준 18%나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도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견조한 활동을 보였습니다. 1달러 이상의 잔액을 가진 주소 수가 4,800만 개로 최고치를 경신하며 "장기 보유자(hodler)" 수요가 견고함을 시사했습니다. 이는 비트코인이 단순한 교환 수단을 넘어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또한 800 EH/s에 육박하며 네트워크의 강력한 보안과 확장성을 증명했죠.

 

반면, 스마트 계약 플랫폼 섹터의 주요 지표들은 전반적으로 감소했습니다. 특히 솔라나 블록체인에서 밈코인 거래 활동이 둔화된 것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밈코인이 실질적인 유용성을 제공하지 않고 높은 위험을 수반함에도 불구하고, 밈코인 거래에 대한 관심은 솔라나 생태계에 새로운 사용자들을 유입시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솔라나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는 2024년 4분기 말 1억 4천만 명에 달했고, 2025년 1분기에도 평균 약 9천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밈코인 거래 둔화에도 불구하고 솔라나는 1분기에 약 3억 9천만 달러의 수수료 수익을 올렸는데, 이는 스마트 계약 플랫폼 전체 수수료 추정치의 절반에 육박하는 금액입니다.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영역은 흥미로운 성장을 보였습니다. 그레이스케일 암호화폐 섹터 프레임워크는 금융, 소비 및 문화, 유틸리티 및 서비스 세 가지 범주로 나뉘는데, 이 세 섹터는 1분기에 총 2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했습니다. 이는 2024년 1분기 대비 99% 증가한 수치입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 Top 20: 2분기 유망 자산 공개

그레이스케일 리서치 팀은 매 분기 FTSE/Grayscale 암호화폐 섹터 지수 재조정 과정을 거쳐 수백 개의 디지털 자산을 분석합니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다음 분기에 높은 잠재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 20개를 선정하는데, 이를 'Top 20'이라고 부릅니다. 이번 분기에는 특히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새로운 자산들에 주목했습니다. 그레이스케일은 투기적이지 않은 실제 세계 애플리케이션을 반영하는 토큰을 강조하며, RWA(실물 자산 토큰화), DePIN(탈중앙화 물리 인프라), IP(지적 재산)의 세 가지 범주에 속하는 프로젝트들을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이번 2분기에 새롭게 Top 20에 이름을 올린 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메이플 (Maple, SYRUP): 기관 대출 및 차입에 초점을 맞춘 탈중앙 금융(DeFi) 프로토콜입니다. 메이플은 두 가지 핵심 플랫폼인 Maple Institutional(인증된 투자자용)과 Syrup.fi(DeFi 네이티브 사용자용)를 통해 6억 달러 이상의 총 잠금 가치(TVL)를 달성했으며, 지난 30일간 연간화된 네트워크 수수료 수익은 2천만 달러에 달합니다. 메이플은 2025년 Syrup.fi의 TVL을 20억 달러까지 확장하고, 전통 금융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기관 대출 분야에서 신뢰할 수 있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지오드넷 (Geodnet, GEOD): 실시간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DePIN 프로젝트입니다. 세계 최대 실시간 동역학 측위(RTK) 제공업체로서, 지오드넷은 최대 1센티미터의 정확도로 지리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며 농부와 같은 사용자들에게 저렴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또한 미래에는 자율주행 차량 및 로봇 공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네트워크는 130개국에 걸쳐 14,000개 이상의 장치로 확장되었으며, 지난 30일간 연간화된 네트워크 수수료 수익은 3백만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전년 대비 약 500% 증가). 다만 GEOD는 다른 Top 20 자산에 비해 시가총액이 낮고 거래소 상장 수가 적으므로 높은 위험을 수반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 스토리 프로토콜 (Story Protocol, IP): 70조 달러 규모의 지적 재산(IP) 시장을 토큰화하려는 프로젝트입니다. AI 시대에 독점 IP가 AI 모델 학습에 사용되면서 저작권 침해 주장과 대규모 소송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스토리는 IP를 온체인으로 가져와 기업이 AI 모델 학습에 IP를 사용하는 것을 수익화할 수 있도록 하며, 개인이 IP에 투자하고 거래하며 로열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스토리는 이미 저스틴 비버와 방탄소년단의 노래를 온체인에 올렸으며, 최근 2월에는 IP 중심 블록체인과 토큰을 출시했습니다.

이러한 투기적이지 않은 새로운 사용 사례들의 발전은 암호화폐 산업의 긍정적인 성숙 신호로 해석됩니다. 또한, 이전 분기부터 주목받던 이더리움 스케일링 솔루션, 블록체인과 AI 개발의 교차점, DeFi 및 스테이킹 솔루션과 같은 테마들도 옵티미즘(Optimism), 비텐서(Bittensor), 리도 다오(Lido DAO)와 같은 프로토콜들이 Top 20에 다시 포함되면서 여전히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번 분기 Top 20에서 제외된 자산으로는 아카시(Akash), 아위브(Arweave), 주피터(Jupiter)가 있습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 팀은 이 프로젝트들의 가치를 여전히 인정하며 암호화폐 생태계의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지만, 개정된 Top 20 목록이 다음 분기에 더 매력적인 위험 조정 수익률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자산 투자에는 스마트 계약 취약성 및 규제 불확실성을 포함하여 암호화폐 자산군에만 국한된 고유한 위험이 따릅니다. 또한, Top 20에 포함된 모든 자산은 높은 가격 변동성을 가지며 고위험으로 간주되어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는 포트폴리오의 맥락에서, 그리고 투자자의 재정 목표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핵심사항 5가지

  • 2025년 1분기 암호화폐 시장은 기술주와 함께 전반적으로 하락했습니다.
  • 비트코인 네트워크 활동은 견조했으며,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 솔라나의 밈코인 거래 둔화로 스마트 계약 플랫폼 지표가 하락했습니다.
  •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섹터는 1분기에 2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하며 성장했습니다.
  • 그레이스케일 Top 20에 메이플, 지오드넷, 스토리 프로토콜 등 새로운 유망 자산이 포함되었습니다.

전체 요약

2025년 1분기 암호화폐 시장은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지만,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견고한 모습을 유지하며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잠재력을 드러냈습니다. 밈코인 거래 둔화로 인해 솔라나를 포함한 스마트 계약 플랫폼의 활동이 주춤했음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섹터는 2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하며 유망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이러한 시장 변화를 바탕으로 2분기에 주목할 만한 Top 20 자산을 발표했으며, 특히 실물 자산 토큰화, 탈중앙화 물리 인프라, 지적 재산과 같은 비투기적인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새로운 Top 20 자산에는 메이플(SYRUP), 지오드넷(GEOD), 스토리 프로토콜(IP)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암호화폐 산업의 성숙을 나타내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출처

이 글은 Grayscale Research Team이 2025년 3월 26일에 작성한 "Grayscale Research Insights: Crypto Sectors in Q2 2025"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마트 계약 플랫폼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과 블록체인 기반 금융의 핵심 인프라입니다. 이는 퍼블릭 블록체인이 금융 시장과 디지털 상거래를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를 제공한다는 비전의 중심에 있습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Grayscale Research)는 미국 규제 변화와 향후 입법으로 인해 스마트 계약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채택이 향후 1~2년 내에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독보적인 강점과 시장 지위

이더리움은 시가총액, 애플리케이션 생태계 및 개발자 커뮤니티 규모, 온체인 자산 가치 면에서 가장 큰 스마트 계약 플랫폼입니다. 최근에는 수수료 및 기타 온체인 활동 지표에서 솔라나(Solana)와 같은 일부 경쟁자에게 뒤처지기도 했지만, 탈중앙화, 보안, 중립성을 강조하는 이더리움의 문화는 사용자, 개발자, 거래 수수료 측면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계속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더(ETH)는 다각화된 암호화폐 포트폴리오의 필수 요소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스마트 계약 플랫폼 수수료에 대한 전망은 매우 불확실합니다. 부분적으로는 이더리움과 같은 플랫폼이 장기적으로 얼마나 많은 가격 결정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보고서에서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이더리움이 스케일링 전략을 실행하고 가격 결정력을 유지함으로써 총 수수료를 200억 달러 이상(지난 6개월간 연간 17억 달러에서)으로 늘릴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이더리움은 리눅스(Linux), 파이썬(Python)과 함께 역사상 가장 중요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중 하나로 꼽힙니다. 10년도 채 되지 않았지만, 오늘날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11,000개 이상의 노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달 3,500만~4,000만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약 460억 달러의 가치를 확보하며 2,100명 이상의 풀타임 개발자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상호 연결된 블록체인으로 구성된 더 넓은 이더리움 생태계는 현재 매달 약 4억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합니다.

 

비트코인 대비 이더리움의 최근 성과와 전망

암호화폐 산업 내 이더리움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작년에 현물 기반 상장지수펀드(ETP)가 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이더(ETH) 토큰 시장 가치는 비트코인(BTC)에 비해 상당히 뒤처져 있습니다. 사실 ETH/BTC 가격 비율은 2020년 중반 수준으로 다시 떨어졌습니다. 시장 가치 측면에서 2022년 말 이후 이더의 시가총액은 약 900억 달러 증가한 반면,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1조 3,500억 달러 증가했습니다(약 15배 더 많습니다). 이더는 또한 최근 솔라나, 수이(Sui)를 포함한 다른 스마트 계약 플랫폼의 토큰보다 저조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저조한 성과는 일부 관찰자들로 하여금 이더리움 네트워크 활동과 이더 토큰 가치에 대한 전망에 의문을 제기하게 했습니다. 모든 암호화폐 자산의 전망에는 불확실성이 있지만, 우리는 이더가 다각화된 암호화폐 포트폴리오의 필수 요소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계속 생각합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직접 비교할 수 없습니다.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화폐 시스템이며, 비트코인 자산은 주로 교환 매체와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트코인은 그레이스케일 화폐 암호화폐 부문에 속합니다. 비트코인의 비교적 강력한 가격 수익은 희소하고 검열 저항적인 디지털 화폐로서의 속성에 대한 투자자 수요를 반영합니다.

대조적으로 이더리움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랫폼이며, 이더 토큰은 해당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에게 유틸리티를 제공합니다. 이더리움은 솔라나, 스택스(Stacks), 수이 및 기타 많은 네트워크와 함께 그레이스케일 스마트 계약 플랫폼 암호화폐 부문에 속합니다. 스마트 계약 기술의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직 스마트 계약 기반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대중적 채택을 보지 못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거래의 성장과 같은 많은 초기 성공 사례가 있지만, 현재 채택률은 전통적인 금융의 상당 부분을 온체인으로 가져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스마트 계약 플랫폼의 비전에 비해 매우 낮습니다.

규제 변화와 이더리움의 미래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미국 규제 변화와 향후 입법으로 인해 스마트 계약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채택이 향후 1~2년 내에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연방 암호화폐 정책에 변화를 주어 업계가 미국에서 투자하고 번성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별도로 초당적인 상원의원 그룹은 미국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국가 혁신을 안내하고 확립하는 법안(GENIUS Act)을 도입했습니다. 이 법안은 이전 의회의 관련 노력을 바탕으로 하며, 결제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포괄적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규제 명확성이 높아지면 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투자 및 채택이 증가하여 온체인 활동(예: 거래 및 수수료)이 증가하고 궁극적으로 스마트 계약 플랫폼 토큰의 가치 축적을 이끌어낼 것입니다.

 

초기 선두를 달렸던 이더리움은 이제 다른 스마트 계약 플랫폼들과 상당한 경쟁에 직면해 있으며, 성공하기 위해서는 야심 찬 개발 계획을 실행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더리움은 또한 온체인 자본의 큰 풀과 탈중앙화 및 중립성을 강조하는 설계 선택을 포함하여 금융 사용 사례에 특히 유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차별화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더리움이 미래 온체인 활동의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할 것이며, 이는 이더 토큰의 가치를 높일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이더리움, '세계 컴퓨터'로서의 역할

이더리움은 최초의 주요 스마트 계약 플랫폼 블록체인이었습니다.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거래를 보내고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 계약이 추가되면서 이더리움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도 실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탈중앙화 대출 플랫폼에서 신원 확인 솔루션, 비디오 게임에 이르기까지 무엇이든 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의 인프라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더리움은 소프트웨어 기반 컴퓨터로 생각할 수 있으며 때로는 "세계 컴퓨터"라고도 불립니다.

 

오늘날 이더리움은 수천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하고 있으며, 시가총액 기준으로 스마트 계약 플랫폼 암호화폐 부문에서 가장 큰 자산입니다. 이더리움은 다른 주요 스마트 계약 블록체인보다 더 많은 온체인 자산(예: 스테이블코인 및 토큰화된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온체인 활동 지표에서 다른 블록체인에 뒤처지고 있습니다. 솔라나는 시가총액 기준 두 번째로 큰 네트워크이지만, 지난 30일 동안 활성 주소, 거래 및 수수료 측면에서 더 높은 활동을 보였으며, 시가총액은 이더리움의 30%에 불과합니다.

 

스마트 계약 플랫폼에 대한 투자 논지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더 많은 사용자, 더 많은 거래, 그리고 궁극적으로 기본 프로토콜에 대한 더 많은 수수료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스마트 계약 플랫폼의 거래량이 5년 전 초당 약 20건(TPS)에서 오늘날 약 1,200TPS로 증가했으며, 이는 연간 약 130%의 성장률을 의미한다고 추정합니다. 비교를 위해 2024년 9월 30일까지 12개월 동안 비자(Visa) 네트워크는 약 7,400TPS를 처리했습니다. 만약 스마트 계약 블록체인이 디지털 결제 점유율을 계속 높이고, 경쟁 우위를 확립하며 가격 결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면, 이는 수수료 수익 증가와 토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이더는 FTSE/그레이스케일 스마트 계약 플랫폼 암호화폐 부문 지수(Exhibit 4)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동료 그룹과 대체로 일치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 시장 부문은 현재 총 시가총액 4,280억 달러의 70개 토큰을 포함합니다. 2024년 초 이후 스마트 계약 플랫폼 지수는 22% 하락한 반면, 이더의 가격은 18% 하락했습니다. 대조적으로 솔라나의 가격은 18% 상승했고 비트코인의 가격은 90% 상승했습니다.

 
 

이더리움의 수익 창출 방식과 확장 전략

이더리움은 거래 수수료, 즉 "가스 요금"을 통해 네트워크 활동을 수익화합니다. 이는 거래를 실행하거나 스마트 계약과 상호 작용하는 데 필요한 지불입니다. 솔라나 및 다른 많은 블록체인과 달리 이더리움 생태계의 활동은 레이어 1(L1) 이더리움 메인넷과 레이어 2(L2) 네트워크의 집합체에서 이루어집니다. 이는 이더리움이 수백만 명의 사용자에게 확장하려는 방식인데, L1 자체는 탈중앙화를 희생하지 않고는 충분히 용량을 확장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조화롭게 작동한다면, 이 계층 구조는 L1의 보안과 탈중앙화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에게 높은 처리량과 저렴한 L2 거래 옵션을 제공해야 합니다. 그러나 활동이 L2로 이전되면서 네트워크 전체의 수수료 분배 수준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합니다.

 

가스 요금은 이더리움의 L1과 L2 네트워크 간에 구조적으로 다릅니다. 이는 프로토콜의 스케일링 전략에서 각각의 역할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더리움의 L1은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된 수수료 모델을 사용합니다.

 
  • 가스 단위: 특정 작업에 대한 고정된 계산 비용 (예: ETH 전송에 21,000 가스).
  • 기본 수수료: 모든 거래에 대해 가스 단위당 그웨이(gwei)로 가격이 책정되는 금액 (1 gwei는 10억분의 1 ETH). 기본 수수료는 블록당 수요에 따라 알고리즘적으로 조정됩니다.
  • 우선순위 수수료("팁"): 거래 실행 우선순위를 지정하기 위한 선택적 수수료.

예를 들어, 10 gwei 기본 수수료와 2 gwei 팁으로 1 ETH를 전송하는 데 드는 수수료(21,000 가스 필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 21,000 * (10 + 2) = 252,000 gwei 또는 0.000252 ETH

거래 수수료는 주식 시장의 배당금 및 자사주 매입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통해 토큰 보유자에게 가치를 축적합니다. 우선순위 수수료는 스테이킹 보상의 일부로 검증인에게 지급되며, 이는 배당금과 유사합니다. 기본 수수료는 ETH 공급을 줄이기 위해 소각되며, 이는 모든 토큰 보유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며, 자사주 매입과 유사합니다.

 

아비트럼 원(Arbitrum One) 및 베이스(Base)와 같은 레이어 2 네트워크도 거래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이들은 최종 정산 및 보안을 위해 이더리움 레이어 1 네트워크에 의존하기 때문에, L2는 훨씬 낮은 거래 수수료를 부과하고 초당 더 많은 거래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L2는 정산 및 보안 서비스에 대한 대가로 수수료의 일부를 L1에 송금합니다. 작년에 이더리움은 L2 생태계를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덴쿤(Dencun)이라는 하드포크(네트워크 업데이트)를 진행했습니다. 덴쿤 업그레이드는 L2가 데이터를 L1에 게시하는 저렴한 방법인 블롭(blob) 트랜잭션을 도입했습니다. 이 업그레이드는 L2의 사용자 수와 거래 수를 크게 증가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블롭 트랜잭션의 도입은 네트워크 전체의 수수료 수준 및 분배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블롭 트랜잭션이 L2가 L1에 지불하는 수수료 금액을 줄였다는 것입니다. 이는 일부 관찰자들로 하여금 L2가 이더리움에 "기생적"이라고 주장하게 만들었는데, 단기적으로 L2의 성공이 L1을 희생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L2가 보안 보장 및 기타 네트워크 효과와 같은 이더리움 생태계 내에 남아 있는 이점을 누린다면, 대규모 L2 생태계는 장기적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ETH에 훨씬 더 많은 가치를 가져올 것입니다.

 

향후 업그레이드는 L1과 L2를 모두 계속 확장할 것입니다. 2025년 4월로 예정된 펙트라(Pectra) 업그레이드는 프라하(실행 레이어) 및 일렉트라(합의 레이어) 개선 사항을 결합합니다. 특히 확장 측면에서 이더리움 개선 제안-7691은 블롭 스토리지를 최적화하여 블록당 6개의 블롭을 목표로 하며, 덴쿤의 블롭 용량을 두 배로 늘립니다. 앞으로 이더리움의 확장 잠재력은 풀 댕크샤딩(Full Danksharding)으로 알려진 개념의 구현으로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 업그레이드는 블록당 블롭 수와 각 블롭 크기를 모두 확장하여 TPS의 상한선을 극적으로 높입니다.

 
 

이더리움 수수료의 미래 전망

스마트 계약 플랫폼 수수료에 대한 전망은 매우 불확실합니다. 부분적으로는 기술이 초기 단계에 있고, 이더리움과 같은 플랫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얼마나 많은 가격 결정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스마트 계약 플랫폼은 서로 경쟁하며, 중앙 집중식 시스템과도 경쟁합니다. 장기적으로 가격 결정력을 유지하려면 사용자가 더 저렴한 (중앙 집중식 또는 탈중앙화) 대안으로 전환하는 것을 막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많은 경쟁자보다 느리고 비용이 더 많이 들지만,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온체인 자산의 높은 가치와 탈중앙화 및 보안 강조를 포함한 고유한 이점이 채택 및 네트워크 효과에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이더리움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느 정도의 가격 결정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다음은 이더리움이 용량을 늘리고 가격 결정력을 유지하여 수수료를 잠재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예시를 보여줍니다. 우리는 L1에서 평균 거래 수수료를 5.00달러로 가정합니다. 이는 2019년 이후 평균 6.30달러와 비교됩니다. 장기적으로 레이어 1은 주로 고가치 거래 및 높은 보안 가정이 필요한 거래에 사용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L2의 경우 평균 거래 수수료를 0.05달러로 가정합니다. 이는 최근 경험과 유사합니다. 또한 이더리움 L1이 100 TPS를 처리하고 이더리움 L2가 총 25,000 TPS를 처리한다고 가정합니다. 이는 이더리움의 확장 로드맵 내에서 향후 3-5년 이내에 달성 가능하며, 스마트 계약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가 크게 증가한다고 가정하는 가상의 TPS 예측입니다.

 

이러한 가정 하에 총 이더리움 레이어 1 수수료는 지난 6개월간 연간 약 17억 달러에서 200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수수료에 대한 전망은 매우 불확실하지만, 이더리움은 스케일링 전략을 실행하고 어느 정도의 가격 결정력을 유지한다면 수수료 수익을 크게 늘릴 수 있는 기술적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투자자는 이 단순화된 모델의 기본 변수, 즉 L1 및 L2 TPS와 L1 및 L2 평균 실행 수수료를 추적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파이 확대: 이더리움과 솔라나의 경쟁 구도

지난 암호화폐 강세장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는 처음에 함께 상승했습니다. 그러다 2021년에는 이더의 가격이 더 빠르게 상승하여, 2019년 초부터 2021년 11월 시장 정점까지 비트코인보다 약 두 배 높은 가격 수익을 올렸습니다. 일부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현재 주기에서도 비슷한 패턴, 즉 주기가 성숙함에 따라 이더가 크게 우위를 점할 것으로 예상했을 수 있으며, 최근의 약세에 실망했을 수 있습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이더의 저조한 성과를 암호화폐 시장이 펀더멘털에 집중하고 있다는 건강한 신호로 봅니다. 우리의 분석 프레임워크에서 암호화폐 시장은 스마트 계약 플랫폼을 주로 수수료를 기준으로 차별화합니다. 수수료가 블록체인 전반에 걸쳐 토큰 가치 축적으로 정확히 동일하게 전환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토큰 보유자에게 전달되며, 수수료는 블록체인 활동을 가장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척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계약 플랫폼 암호화폐 부문 내에서 이더리움과 솔라나 모두 비교적 높은 수수료와 시가총액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3년 말 이후 솔라나는 스마트 계약 플랫폼 암호화폐 부문에서 수수료 수익과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반면, 이더리움은 수수료 수익과 시가총액을 잃었습니다. 즉, 시장은 펀더멘털 변화로 인해 이더리움과 솔라나의 상대적 가치를 적절하게 재조정했습니다. Exhibit 11에 표시된 단순한 프레임워크에서 솔라나는 오른쪽 위로 이동하여 오늘날 대략 공정하게 평가되는 것으로 보입니다("평가에 따라 성장"). 대조적으로 이더리움은 왼쪽 아래로 이동했으며, 오늘날 수수료 수익에 비해 프리미엄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경쟁 위치의 이러한 작은 차이는 중요하지만, 전체 카테고리의 잠재적 성장만큼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모든 스마트 계약 플랫폼의 채택은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은 오늘날 월간 활성 사용자 수가 약 7백만 명에 불과하지만,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플랫폼스는 2024년 12월에 자사 애플리케이션에서 33억 5천만 명의 "일일 활성 사용자"를 보고했습니다. 채택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 계약 플랫폼은 복합적인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이점을 얻을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참여 증가는 거래량과 수수료 수익을 높일 뿐만 아니라 개발자 활동, 유동성 심도, 생태계 간 상호 운용성을 가속화합니다. 채택 및 유틸리티의 이러한 강화 주기는 전체 카테고리에서 가치 포착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네트워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장 많은 거래 수수료를 확보하고, 기본 토큰에 대한 유리한 구조적 공급/수요 조건(예: 제한된 공급 증가 및 담보 자산 또는 지불 수단으로서의 구조적 수요)을 갖춘 네트워크일 것입니다. 솔라나, 수이 및 기타 몇몇 스마트 계약 플랫폼은 높은 처리량, 낮은 거래 비용 및 일반적으로 매력적인 사용자 경험으로 경쟁자와 차별화될 것입니다. 이더리움은 크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개발자 생태계, 많은 온체인 자본, 그리고 탈중앙화, 보안, 중립성을 우선시하는 문화 덕분에 차별화됩니다. 우리는 이러한 기능이 계속해서 많은 사용자를 이더리움 생태계로 끌어들일 것이며, 이더리움이 미래에 스마트 계약 플랫폼 블록체인의 경제 활동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핵심사항 5가지

  • 이더리움은 시가총액, 생태계 규모, 온체인 자산 가치 면에서 최대 스마트 계약 플랫폼입니다.
  • 미국 규제 변화와 새로운 법안은 스마트 계약 애플리케이션 채택 가속화를 촉진할 것입니다.
  • 이더리움은 '세계 컴퓨터'로서 다양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인프라 역할을 합니다.
  • 이더리움은 L1과 L2 네트워크를 통한 확장 전략으로 수수료 수익을 크게 늘릴 잠재력이 있습니다.
  • 탈중앙화, 보안, 중립성 등 이더리움의 고유한 강점은 지속적인 경쟁 우위를 제공할 것입니다.

전체 요약

이더리움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과 블록체인 기반 금융의 핵심 인프라로서, 시가총액과 생태계 규모에서 압도적인 선두를 지키고 있습니다. 비록 최근 비트코인 대비 약세를 보였지만, 이는 암호화폐 시장이 펀더멘털에 집중하는 건강한 신호로 해석됩니다. 특히 미국 규제 변화와 새로운 법안은 스마트 계약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채택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더리움은 '세계 컴퓨터'로서 다양한 DApp을 호스팅하며, L1과 L2를 통한 혁신적인 확장 전략으로 거래 수수료 수익을 크게 늘릴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탈중앙화, 보안, 중립성을 강조하는 고유한 문화적 특성은 이더리움이 미래 스마트 계약 플랫폼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이더를 다각화된 암호화폐 포트폴리오의 필수 요소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 글은 Grayscale Research가 2025년 3월 20일에 작성한 "Ethereum: The OG Smart Contract Blockchain"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최근 거시경제 위험 증가와 기술주 하락이 맞물리면서 2025년 2월, 암호화폐 시장의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사건과 밈코인 거래 활동 감소 또한 시장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미국 내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규제 환경은 개선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SEC는 이전 지도부 하에서 시작된 여러 강제 조치를 중단하거나 보류했으며, 초당파적 상원의원 그룹은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발의했습니다. 주말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 전략 비축량(Crypto Strategic Reserve) 제안을 언급하는 등 긍정적인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단기적으로 거시경제 전망 변화는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업계의 펀더멘털 개선을 고려할 때, 토큰 가치 하락은 장기적인 관점을 가진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진입점이 될 수 있습니다.

2025년 2월, 암호화폐 시장의 명과 암

2025년 2월 암호화폐 시장은 가치 하락과 긍정적인 펀더멘털 뉴스가 공존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단기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펀더멘털 개선은 장기적으로 기술 발전과 사용자 채택을 위한 강력한 기반을 마련할 것입니다.

2025년 2월, 시가총액 가중치 기준 암호화폐 섹터 가격 지수는 22% 하락했습니다. 위험 조정 기준(즉, 각 자산의 변동성을 고려)으로 보면, 해당 월의 암호화폐 시장 성과는 경기 민감주 및 기술 중심 주식 시장 부문의 하락과 유사했습니다 (Exhibit 1). 비트코인은 전체 암호화폐 시장보다 18% 하락하며 다소 나은 성과를 보였지만, 위험 조정 수익률은 전체 암호화폐 시장보다 낮았습니다 (이는 비트코인의 일반적으로 낮은 변동성을 반영합니다). 미국 성장 전망에 대한 우려로 국채 수익률은 하락하고 채권 가격은 강세를 보였으며, 비미국 주식 시장은 더 나은 성과를 나타냈습니다.

 

규제 환경 개선과 제도권 진입 가속화

트럼프 행정부의 1월 암호화폐 행정 명령 이후, 우예다 SEC 의장 대행 체제 하의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접근 방식을 변화시키기 시작했습니다. 첫째, SEC는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오픈씨, 유니스왑, 컨센시스, 로빈후드 등 여러 암호화폐 기관에 대한 조사를 종료하거나 보류했습니다. 둘째, SEC는 논란이 많았던 "딜러 규칙"에 대한 항소를 철회했습니다. 이 규칙은 다양한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토콜을 전통적인 증권 규제 대상으로 삼으려 했던 것입니다. 셋째, SEC는 암호화폐 자산 및 사이버 부서(Crypto Assets and Cyber Unit)를 대체할 사이버 및 신흥 기술 부서(Cyber and Emerging Technologies Unit) 신설을 발표했습니다. 보도 자료에 따르면, 이는 SEC의 강제 집행 노력을 범죄 행위에 다시 집중하고 합법적인 개발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한편, 초당파적 상원의원 그룹은 미국 스테이블코인 국가 혁신 유도 및 확립법(GENIUS Act)을 발의했습니다. 이 법안은 이전 의회의 관련 노력을 바탕으로 하며, 미국 내 지불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포괄적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조항에는 "허용된 지불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개념을 정의하고, 스테이블코인이 최소 1:1로 국채, 보험 예금 또는 밀접하게 관련된 상품에 의해 뒷받침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이 포함됩니다. Allium 데이터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은 현재 월 1억 건 이상의 거래를 처리하며 총 약 6천억 달러에 달합니다 (Exhibit 2; 데이터는 고빈도 거래 및 봇을 제외하도록 조정됨).

 

암호화폐 시장 구조의 개선은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미 수백 개의 기관 투자자들이 벤처 캐피탈 펀드와 헤지 펀드에 대한 투자를 통해 암호화폐에 노출되어 있으며 , 이제 비트코인 상장지수상품(ETP)을 통한 더 큰 참여를 목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공개된 4분기 13F 보고서에 따르면 아부다비 정부의 국부 펀드인 Mubadala Investment Company가 미국 상장 비트코인 ETP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찬가지로, Financial Times는 2월에 미국 재단 및 대학 기부금들이 비트코인에 투자하기 시작했거나 암호화폐 자산 클래스에 할당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저희는 암호화폐가 장기적인 시간 지평을 가진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 국부 펀드 및 기부금과 같은 투자자들에게 잠재적으로 적절한 할당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잠시 주춤했던 시장, 밈코인과 보안 과제

암호화폐 산업이 규제 명확성 증대와 기관 채택의 혜택을 누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가지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2월 21일, 거래량 기준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비트가 북한의 라자루스 그룹에 의해 자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킹으로 약 15억 달러 상당의 이더리움 및 유사 자산을 손실했다는 점입니다. 이 해킹은 총 손실액 기준으로 암호화폐 역사상 가장 큰 규모였으며, 사이버 보안 개선의 지속적인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동시에, 이 사건으로 사용자 자금 손실은 없었으며, 관찰자들은 전반적으로 거래소의 위기 대응 노력을 칭찬했습니다. 바이비트의 현물 거래량은 2월 말까지 대체로 정상화되었습니다. 암호화폐 사이버 범죄는 여전히 중요한 문제이지만, 해킹으로 인한 달러 손실액은 암호화폐 시장 규모에 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했습니다.

 

별개로, 솔라나 생태계의 급성장은 최근 밈코인 활동 감소로 인해 주춤했습니다. 지난달까지 밈코인 활동은 솔라나 블록체인에서 상당한 양의 거래량과 수수료 수익을 창출했으며, 심지어 트럼프 대통령과 영부인까지 끌어들였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2025년 1월 월간 보고서 참조). 그러나 아르헨티나 대통령 하비에르 밀레이와 연관된 밈코인의 출시와 특정 밈코인 프로모터의 불법 행위에 대한 관련 공개는 시장 심리에 변화를 촉발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 이후 인기 밈코인의 가치는 15%~35% 하락했으며 , 레이디움과 같은 선도적인 솔라나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거래량도 감소했습니다 (Exhibit 3). 밈코인은 디지털 수집품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저희는 밈코인이 암호화폐 시장의 영구적인 특징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솔라나에서 최근 급증했던 신규 발행과 거래량은 이제 진정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솔라나는 탈중앙화 물리 인프라(DePIN) 프로젝트를 포함한 다른 주요 부문에서 선도적인 블록체인이며, 밈코인 거래 활동 감소는 솔라나의 기본 SOL 토큰에 대한 장기 투자 논리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거시경제 변수와 장기적인 기회

저희는 암호화폐 시장이 바이비트 해킹 및 밈코인 관련 최근 소식을 빠르게 극복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러나 거시경제 시장 상황은 향후 몇 달 동안 변동성 요인으로 남을 수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민 삭감, 관세 인상, 정부 지출 축소를 포함한 경제 정책 의제를 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유권자들이 이러한 정책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는 트럼프 대통령 캠페인의 핵심 요소였음),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단기적으로 경제 성장을 저해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주식 시장은 DeepSeek의 오픈 소스 대규모 언어 모델 출시와 AI 관련 자본 지출에 대한 잠재적 영향에 계속 적응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높은 주식 가치 평가와 증가하는 거시경제 위험을 고려할 때, 투자자 위험 감소 및 주식 시장 변동성 증가 기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과 주식 시장이 완벽하게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암호화폐를 좋은 포트폴리오 다각화 수단으로 만듦) , 상당한 주식 시장 변동성이 암호화폐 가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합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펀더멘털을 고려할 때, 암호화폐 가치의 지속적인 약세는 예상하지 않습니다. 시장 구조 및 규제 명확성 개선, 스테이블코인 및 기타 기술 채택 증가, 탈중앙화 AI 개발의 혁신, 건전한 화폐 자산으로서 비트코인 수요 증가로 인해 암호화폐 자산 클래스의 전망은 밝습니다. 따라서 암호화폐 자산 클래스에 대한 투자 비중이 낮은 (즉, 아주 적거나 전혀 할당되지 않은) 많은 투자자들에게는 낮은 가치 평가가 할당을 늘리고 잠재적인 상승에 참여할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핵심사항 5가지

  • 2025년 2월, 거시경제 위험과 기술주 하락으로 암호화폐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 SEC의 규제 완화 움직임과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법안 발의로 규제 환경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 기관 투자자들의 비트코인 ETP 투자가 증가하는 등 제도권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 주요 거래소 해킹과 밈코인 활동 둔화라는 단기적인 시장의 난관도 있었습니다.
  • 개선되는 펀더멘털과 장기적 관점에서 현재의 가치 하락은 투자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전체 요약

2025년 2월 암호화폐 시장은 거시경제 위험과 기술주 하락으로 인해 가치 하락을 겪었지만, 동시에 미국 내 규제 환경은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SEC는 암호화폐 관련 조사를 완화하고 새로운 부서를 신설했으며,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포괄적인 규제 프레임워크가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관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시장 진입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비록 주요 거래소 해킹과 밈코인 거래량 감소와 같은 단기적인 난관도 있었지만, 업계의 펀더멘털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가치 하락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암호화폐 투자를 고려하는 이들에게 매력적인 진입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Research Team이 2025년 3월 3일에 작성한 "February 2025: Progress, Potholes, and Opportunity"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AI 시대의 필수 인프라, DePIN으로 투자 기회를 잡으세요!

탈중앙화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DePIN)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무선 연결, AI 관련 자원(컴퓨팅 및 데이터) 등 핵심 물리 인프라 프로젝트에 자본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혁신적인 방식입니다. 이 프로젝트들은 토큰을 경제적 인센티브로 활용하여 자원 공유를 촉진하며, 이는 암호화폐의 비투기적인 실제 사용 사례를 보여줍니다.

 

특히 솔라나는 현재 DePIN 분야를 선도하는 블록체인으로 헬륨(Helium), 렌더(Render), 그래스(Grass)와 같은 주요 DePIN 프로젝트들을 호스팅하고 있습니다. 솔라나는 빠른 속도, 비용 효율성, 그리고 신뢰성을 바탕으로 DePIN 블록체인으로서 독보적인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 가치 기준으로 AI 관련 DePIN이 전체 DePIN 시장의 48%를 차지하며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분산형 AI 모델 훈련, 컴퓨팅, 데이터 스크래핑 및 저장 등의 기능을 포함합니다.

DePIN이란 무엇일까요?

DePIN은 블록체인과 현실 세계를 연결하는 독특하고 새로운 분야입니다. 인터넷 연결 및 컴퓨팅 자원과 같은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핫스팟 장치, 무선 라우터, 물리적 사물 인터넷(IoT) 센서, 차량용 대시캠, GPU 등 물리 시스템을 활용합니다. 이러한 장치들은 암호화폐 토큰 보상을 대가로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가치를 제공합니다. 통신 제공업체나 데이터 센터와 같은 기업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모델과 달리, DePIN은 탈중앙화되어 다양한 독립 참여자에게 소유권과 관리가 분산됩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Grayscale Research)는 DePIN 자산이 이더리움이나 솔라나와 같은 스마트 계약 블록체인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로서 '유틸리티 및 서비스 암호화폐 섹터'에 속한다고 봅니다.

 

DePIN 투자 전망: 왜 주목해야 할까요?

DePIN은 물리적 노드를 다양한 참여자에게 분산함으로써 단일 실패 지점을 제거하고 인프라의 탄력성, 효율성 및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킵니다. 이를 통해 DePIN은 혁신을 촉진하고, 공평성을 증진하며,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운영 비용을 절감합니다.

 

 

DePIN이 기존 중앙 집중식 모델에 비해 제공하는 주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앙 집중식 중개자의 필요성 제거
  • 단일 실패 지점 감소 및 급격한 수요에 대한 대응 능력 증가
  • 간접비/관리 비용 제거, 때로는 소비자 가격 인하
  • 자원 공급업체와 소비자 등 모든 참여자 간의 인센티브 일치

이러한 이점 덕분에 DePIN은 높은 자본 요구 사항, 높은 진입 장벽, 독점적 역학, 그리고 활용되지 않는 자원이 많은 산업과 특히 관련성이 높습니다. DePIN 모델은 인터넷 연결, 데이터 저장, AI 개발을 위한 컴퓨팅 하드웨어와 같은 분야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이 산업들은 AT&T에서 아마존(AWS) 및 엔비디아(Nvidia)에 이르기까지 세계 최대 기업들을 포함하며 수조 달러 규모에 달합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DePIN이 기존 대안보다 더 효율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고, 이미 암호화폐 인센티브를 성공적으로 활용하여 네트워크 공급을 대규모로 부트스트랩한 사례들이 있기 때문에 상당한 기회가 있다고 분석합니다. 현재 솔라나는 이 초기 성장 테마에 투자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재 DePIN의 상태는 어떨까요?

DePIN 자산은 무선 연결 및 IoT(헬륨), 지리 공간 데이터 수집(하이브매퍼), 분산형 비디오 렌더링(렌더), 그리고 컴퓨팅 네트워크(아카시)와 같은 AI 관련 사용 사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헬륨(Helium) – 무선 연결 및 IoT의 선구자

 

솔라나 기반의 헬륨은 DePIN의 초기 개척자 중 하나이며, 실제 암호화폐 사용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헬륨은 개인이 사용하지 않는 네트워크 용량을 토큰 보상(HNT)과 교환하여 수익화할 수 있도록 하여 분산형 핫스팟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사용자들은 이 핫스팟 네트워크를 통해 기존 방식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헬륨 모바일은 현재 129,000명 이상의 모바일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월 $30의 무제한 요금제를 제공하는데, 이는 미국 평균인 월 $144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헬륨은 최근 제한된 데이터, 문자, 통화를 제공하는 무료 모바일 요금제도 발표했습니다.

 
 
 

헬륨은 T-Mobile과 같은 통신 제공업체와도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 파트너십을 통해 T-Mobile 사용자들은 혼잡을 줄이고 비용을 낮추면서 트래픽이 많은 지역에서 헬륨의 무선 연결에 원활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T-Mobile은 사용량에 따라 헬륨 네트워크에 비용을 지불하며, 이는 HNT 공급에 디플레이션 효과를 가져옵니다. 헬륨은 기업 노력 덕분에 약 45만 명에게 무선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했으며, 2025년 하반기에는 전체 네트워크 사용량이 증가했습니다.

 

헬륨은 모바일 연결을 넘어 IoT 장치를 지원하여 센서가 기존 Wi-Fi 솔루션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지오드넷(Geodnet), 하이브매퍼(Hivemapper), 나틱스(NATIX)와 같은 유사한 DePIN 프로젝트들은 차량이나 가정의 IoT 센서를 사용하여 실시간 지리 공간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이 데이터는 현재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가치가 있으며, 자율 주행 차량 및 로봇 공학과 같은 AI 시스템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지오드넷은 2025년 1월 연간 네트워크 수수료 수익이 300만 달러에 달하는 인상적인 성장을 보였습니다(전년 대비 약 518% 증가).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헬륨이 T-Mobile 및 텔레포니카(Telefonica)와 같은 현재 파트너십 내에서 사용량과 지리적 범위를 계속 확장하고, 새로운 무료 모바일 요금제를 통해 더 광범위한 소비자 채택을 얻을 수 있다면, 그 기회가 중요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데이터 스크래핑 – 그래스(Grass)

 

DePIN은 AI 사용 사례와 상당한 중복성을 가집니다. 그 중 한 가지 예시는 데이터 획득입니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방대한 양의 고품질 데이터를 필요로 합니다. 기존 AI 서비스인 OpenAI와 Gemini는 각각 Bing과 Google을 통해 실시간 및 다중 모드 데이터에 지속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 경쟁사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스(Grass)는 토큰 인센티브를 통해 새로운 데이터 획득 모델을 가능하게 하여 경쟁의 장을 평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간단한 데스크톱 앱을 통해 그래스는 누구나 사용하지 않는 인터넷 대역폭을 GRASS 토큰과 교환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대역폭은 온라인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는 데 사용되며,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AI 회사와 개발자에게 모델 훈련용으로 판매됩니다. 결과적으로 그래스 네트워크의 개인들은 대역폭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AI 회사들은 그렇지 않으면 사일로에 갇혀 있을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스는 토큰 인센티브를 활용하여 공급을 부트스트랩하는 DePIN 성공 사례로 돋보이며, 기여자 기반을 190개국에 걸쳐 250만 노드로 성장시켰습니다. 이 모든 대역폭 덕분에 그래스는 유튜브 데이터의 20%와 총 7천 테라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를 스크래핑했습니다. 그래스 네트워크는 현재 Laion 및 Ontocord와 같은 AI 연구소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더 큰 AI 연구소와 파트너십을 맺을 수 있다면 상당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AI 모델 훈련 – 프라임 인텔렉트(Prime Intellect) 및 기타

 

AI 회사가 고품질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면, 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LLM을 훈련시킬 수 있습니다. DePIN의 가장 초기 사용 사례 중 하나이자 아마도 가장 유망한 사용 사례는 분산형 훈련입니다. AI 모델 훈련에는 엄청난 계산 능력이 필요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중앙 집중식 데이터 센터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DePIN은 이를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글로벌 GPU 네트워크에 워크로드를 분산함으로써 이러한 프로젝트는 분산형 훈련을 가능하게 합니다.

 

지난 11월, 프라임 인텔렉트(Prime Intellect)는 5개국 3개 대륙에 걸쳐 1조 토큰에 대한 100억 매개변수 언어 모델을 성공적으로 훈련시켰습니다. 프라임 인텔렉트는 통신 요구 사항을 크게 줄여 느슨하게 연결된 장치 간의 효율적인 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DiLoCo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이를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경쟁자로는 Hermes 오픈소스 모델을 구축하고 최근 솔라나를 블록체인으로 선택한 Nous Research가 있습니다. 또 다른 신흥 플레이어는 플록(Flock.io, FLOCK)으로, Animoca Brands 및 GSR과 같은 금융 회사와 의료 회사가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AI 모델을 훈련할 수 있도록 합니다. 프라임 인텔렉트와 Nous Research는 아직 토큰을 출시하지 않았지만,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이러한 분산형 훈련 프로토콜 중 일부가 AI 개발자를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믿습니다.

 

 

AI 모델 추론 – 아카시(Akash)

 

LLM이 훈련되면 챗봇(예: ChatGPT)과 같은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쿼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ChatGPT에 질문할 때마다 출력을 생성하는 데 드는 추론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 추론 과정에는 필요한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 NVIDIA H100과 같은 정교한 GPU 하드웨어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수요가 많은 자원은 종종 높은 가격과 장기 계약으로 판매되어 상당한 자본이 없는 스타트업, 연구원 또는 조직이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동시에 이러한 GPU를 소유한 많은 데이터 센터는 최대 30%의 활용되지 않는 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카시는 GPU 임대를 위한 분산형 클라우드 컴퓨팅 마켓플레이스입니다. 이를 통해 GPU 공급업체는 유휴 공급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소비자는 유연한 기간 동안 대체 서비스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고성능 GPU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아카시는 2024년 11월 이전에 200개 미만이던 GPU 임대 건수를 2025년 1월에 600개 이상으로 늘렸으며, 여기에는 398개의 NVIDIA H100이 포함됩니다. 그 결과, 아카시는 올해 1월에 연간 네트워크 수수료 수익을 460만 달러로 늘릴 수 있었습니다. 아카시 GPU는 brev.dev(Nvidia에 인수됨), Venice.ai, ElizaOS(이전 ai16z) 및 UT Austin에서 사용됩니다. 아카시 및 유사한 분산형 추론 플랫폼이 주요 클라우드 제공업체와 직접 경쟁하지는 않지만, 스타트업, 분산형 AI 프로젝트, 독립 연구원 및 대학을 대상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기회가 있습니다. 아카시의 경쟁자로는 io.net, Nosana 및 Hyperbolic이 있습니다.

 

 

오늘날 시가 총액 기준으로 가장 큰 DePIN 자산은 비텐서(Bittensor)입니다. "AI의 인터넷"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하며, 데이터 스크래핑 및 모델 추론을 위한 컴퓨팅과 같은 작업에 특화된 서브넷을 호스팅합니다. 각 서브넷은 상호 연결된 DePIN 네트워크처럼 작동하는 더 넓은 비텐서 생태계 내에서 독립적인 엔티티로 기능합니다. 비텐서는 2월 13일에 개별 서브넷에 처음으로 투자할 수 있게 한 "동적 TAO"라는 주요 업그레이드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솔라나(Solana)는 왜 DePIN의 선두 블록체인일까요?

많은 DePIN 프로젝트가 자체 독립형 레이어 1 블록체인("앱 체인")을 구축하는 것을 선택했지만, 솔라나는 DePIN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블록체인으로 부상했습니다. 솔라나는 시가 총액 기준으로 선두 DePIN 블록체인이며, 많은 주요 DePIN 프로젝트가 선택한 블록체인입니다. 주목할 만한 예시는 원래 자체 레이어 1에 구축되었다가 솔라나로 이전한 헬륨입니다. 마찬가지로, 비디오 렌더링 네트워크이자 시가 총액 기준으로 더 큰 DePIN 자산 중 하나인 렌더는 2024년에 이더리움에서 솔라나로 마이그레이션했습니다. 솔라나에 구축된 다른 DePIN 프로젝트로는 그래스, 하이브매퍼, io.net, Nosana 등이 있습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솔라나가 몇 가지 이유로 DePIN 체인으로 선택되었다고 믿습니다. 첫째, 솔라나는 빠르고 저렴한 체인으로, DePIN 프로젝트가 공급업체와 소비자 모두에게 효율적으로 가치를 이전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합니다. 둘째, BASE 및 SUI와 같은 높은 처리량과 저비용 체인 중에서 솔라나는 가장 많은 네트워크 보안, 유동성 및 기록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독립형 레이어 1 앱 체인 대신 솔라나에 구축함으로써 DePIN 프로젝트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핵심 역량에 집중할 수 있으며, 확장뿐만 아니라 인프라 수준의 도구 및 유지 관리에 자원을 할당할 필요가 없습니다.

 

결론: DePIN, 블록체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

DePIN은 블록체인 기술의 유망한 개척지를 대표하며, 글로벌 자원 할당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일부는 암호화폐 산업이 투기적이거나 금융적인 사용 사례에 국한된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많은 DePIN 프로젝트는 그 반대되는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공합니다.

 

대부분의 DePIN 프로젝트는 5년 미만이지만, 일부는 T-Mobile 및 brev.dev를 통한 Nvidia와 같은 세계 최대 조직과 파트너십을 맺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유망한 채택 징후를 보였습니다. 결과적으로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인터넷 연결, 분산형 훈련, 그리고 AI 훈련을 위한 소셜 데이터 또는 실제 물리적 비디오 데이터를 수집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한 특정 사용 사례에 특히 주목하고 있습니다. 또한, DePIN의 잠재적인 미래 성장은 솔라나에게 추가적인 순풍을 불어넣을 수 있습니다. 선도적인 DePIN 블록체인으로서 솔라나는 이러한 프로젝트가 번창하는 데 필요한 속도, 비용 효율성 및 보안을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 DePIN은 매력적인 투자 기회를 나타낸다고 생각합니다. 초기 단계의 고베타 DePIN 노출에 관심 있는 투자자는 무선/IoT 및 AI 노출을 위해 헬륨 또는 비텐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더 큰 시가 총액 옵션을 선호하는 투자자에게는 솔라나가 DePIN의 성장과 함께 최고의 투자 선택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핵심사항 5가지

  • DePIN은 블록체인으로 물리 인프라를 구축, 토큰으로 자원 공유를 인센티브화합니다.
  • 솔라나는 속도와 비용 효율성을 바탕으로 DePIN의 주요 블록체인입니다.
  • AI 관련 DePIN은 시장 가치 48%를 차지하며 분산형 AI 훈련 등을 포함합니다.
  • DePIN은 중개자 제거, 비용 절감으로 기존 모델 대비 효율성이 뛰어납니다.
  • 헬륨, 그래스, 아카시 등은 실제 채택 사례를 보여주는 주요 DePIN 프로젝트입니다.

전체 요약

DePIN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무선 연결, AI 컴퓨팅 등 실제 물리 인프라를 분산화하고 토큰 보상으로 자원 공유를 촉진합니다. 솔라나는 빠른 속도와 저렴한 비용으로 DePIN 프로젝트의 선두 블록체인으로 자리매김했으며, AI 관련 DePIN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DePIN은 중앙화된 모델의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혁신을 가져와 투자 가치가 높은 분야로 평가됩니다.

 

이 글은 Will Ogden Moore가 2025년 2월 25일에 작성한 "The Real World: How DePIN Bridges Crypto Back to Physical Systems"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비트코인 채굴은 단순한 암호화폐 획득을 넘어, 전 세계 디지털 금융 시스템을 움직이는 핵심 동력이자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금부터 비트코인 채굴이 어떻게 막대한 규모의 연산을 통해 블록체인을 보호하고,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나아가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에 기여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비트코인 채굴, 거대한 디지털 금고를 지키다

비트코인 채굴은 블록체인 업데이트와 네트워크 내 경제적 인센티브 조정을 위한 경쟁적인 과정으로, 비트코인이 글로벌 디지털 화폐 시스템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합니다. 현재 비트코인 채굴 네트워크는 매초 700 퀸틸리언이 넘는 "해시"를 생성하며 엄청난 규모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는 지구상의 모래알(약 7.5 퀸틸리언)이나 살아있는 곤충(약 10 퀸틸리언)의 숫자와 비교될 정도로 방대한 양입니다.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새로운 비트코인 발행과 네트워크 거래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얻고, 자본 설비, 전기 및 기타 운영 비용을 지출합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서비스로 사업을 다각화하는 채굴자들도 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2조 달러 규모의 가치를 보호하는 분산형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입니다. 이러한 경이로운 현대 기술은 비트코인 채굴 덕분에 가능합니다. 채굴은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다음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할 권리를 놓고 경쟁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얻는 과정입니다. 채굴에 사용되는 컴퓨팅 파워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디지털 "금고 문"과 같아서, 자율적인 컴퓨터 네트워크가 글로벌 디지털 화폐 시스템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합니다. 채굴 시설 운영에 필요한 기술 전문성, 자본 지출, 지속적인 운영 비용, 그리고 사업의 높은 경쟁성은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분산화하고 공격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상장된 비트코인 채굴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블록 생산으로 인한 수익과 시간 경과에 따른 네트워크 거래 수수료 증가로 인한 잠재적 수익 성장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비트코인 채굴의 원리: 무작위 숫자 맞추기 게임

비트코인 채굴 과정은 기술적으로 복잡하지만 개념적으로는 간단합니다. 특수 컴퓨터가 무작위 숫자를 추측하기 위해 경쟁하고, 가장 먼저 정답을 맞춘 기계가 블록체인을 업데이트(블록 채굴)할 권리를 얻습니다. 이긴 채굴자는 새로 발행된 비트코인과 거래 수수료(블록 보상)를 받습니다.

 

이 경쟁에는 지름길이 없으며,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무차별 대입 방식으로 경쟁합니다. 이 과정은 주사위를 던지는 게임과 유사합니다. 채굴자들은 올바른 솔루션을 찾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추측합니다. 따라서 승리할 확률은 채굴자가 매초 만들 수 있는 추측의 수("주사위 던지기 횟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가장 많은 기계를 보유했거나 가장 효율적인 기계를 가진 운영자가 가장 많은 추측을 하고 블록 보상을 얻을 최고의 기회를 갖습니다.

 

기술적으로 말하면, 승리 결과는 단순히 무작위 숫자가 아니라 이 숫자와 다른 데이터가 결합된 "해시"입니다. 컴퓨터 과학에서 해시 함수는 임의의 데이터를 문자 및/또는 숫자의 문자열인 해시로 변환하는 수학적 연산입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있는 것과 동일한 해시 함수를 사용하면 "Bitcoin"이라는 단어의 해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b4056df6691f8dc72e56302ddad345d65fead3ead9299609a826e2344eb63aa4

 

따라서 비트코인 채굴자들의 목적은 해시를 빠르게 생성하는 것입니다. 무작위 숫자를 추측하고, 그 해시를 계산하고 (무작위 숫자와 다른 데이터를 결합하여), 그것이 올바른지 확인합니다.

 

현재 약 500~600만 대의 비트코인 채굴기가 엄청난 규모의 해시를 생성하고 있습니다.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평균적으로 초당 765 엑사해시(EH/s)의 속도로 해시를 생성했습니다. 1 엑사해시는 1 퀸틸리언 (10^18) 해시와 같습니다. 즉,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초당 평균 700 퀸틸리언 번 이상 무작위 숫자를 추측하고 해시를 계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시를 생성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며, 이것이 바로 핵심입니다. 보상을 놓고 경쟁하기 위해 채굴 운영자는 특수 기계 및 기타 하드웨어를 구입하고 지속적인 전기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해시를 생성함으로써 채굴자들은 "작업 증명"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는 그들이 경제적 자원을 사용했으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고 신뢰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입니다.

 

비트코인을 공격하는 것은 기존 비트코인 채굴 산업을 압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론적으로 악의적인 행위자는 네트워크 해시율의 51%를 제어하여 블록의 대다수를 채굴할 수 있다면 네트워크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예: 비트코인 이중 지불 또는 특정 거래 검열). 한 논문에서 연구원들은 2024년 2월 기준으로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대한 1시간 51% 공격 비용이 50억 달러에서 200억 달러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실제로 어떤 행위자도 이러한 자원을 소비할 경제적 유인이 없으며, 어쨌든 네트워크는 채굴 외에도 추가 방어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채굴의 비즈니스 모델: 성장하는 수익과 다양화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새로운 블록 채굴을 통한 보상과 동일한 수익을 얻으며, 기계를 작동하고 해시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로부터 운영 비용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비트코인 채굴자의 목표는 가능한 가장 낮은 비용으로 초당 가장 많은 해시를 생산하는 것입니다.

 

2024년 채굴자들은 총 230,000 비트코인을 채굴하여 거의 150억 달러에 달하는 수익을 올렸습니다. 이는 2014년에 비해 약 19배 증가한 수치로, 연평균 복합 성장률은 34%입니다. 새로 발행되는 비트코인의 양은 4년마다 비트코인 반감기라는 이벤트로 인해 감소합니다. 비트코인 발행량은 감소했지만, 미국 달러 기준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하여 채굴 수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했습니다. 앞으로 채굴 수익 증가는 비트코인 가격 상승 및/또는 네트워크 거래 수수료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채굴자들은 주로 기계를 운영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의 형태로 운영 비용을 부담합니다. 각 운영자는 전 세계적으로 크게 달라지는 자체 전력 구매 계약을 협상합니다.

 

상장된 채굴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면 주식 시장 상품을 통해 비트코인 경제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질 수 있지만, 모두 해시를 생산하고 블록을 채굴하며 블록 보상을 얻는 핵심 사업에 참여합니다. 전기 비용, 비전기 운영 비용 및 기타 요인 의 차이로 인해 각 채굴자는 다른 유효 가격으로 블록 보상을 얻습니다. 2024년 3분기 동안 가장 큰 상장 채굴자들은 평균 34,000달러에서 59,000달러의 비용으로 비트코인을 생산했습니다. 이는 해당 분기 동안 비트코인 평균 가격 61,000달러와 비교됩니다.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비트코인 보유 방식에 따라 다릅니다. 일부 채굴자들은 블록 보상을 즉시 유동화하고, 일부는 블록 보상을 보유하며, 일부는 심지어 공개 시장에서 추가 비트코인을 구매하기도 합니다. 당연히 비트코인 가격이 변동할 때 이러한 대차대조표 정책의 차이는 상장된 채굴자들의 상대적 재무 성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별 채굴자들의 위험 프로필에는 많은 요인이 영향을 미치며, 비트코인 보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채굴자들이 블록 보상을 유동화하는 채굴자들보다 반드시 더 위험한 것은 아닙니다.

 

최근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데이터 센터 인프라 수요가 급증한 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서비스로 다각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골드만삭스 연구에 따르면 데이터 센터 전력 수요(암호화폐 제외)는 2023년에서 2030년 사이에 160% 증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저렴한 전력과 관련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했기 때문에 AI/HPC 시장 공급에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습니다. 2024년 초, 시가총액 기준 세 번째로 큰 상장 채굴 기업인 Core Scientific은 전문 AI 인프라 서비스 제공업체인 CoreWeave와 장기 계약을 발표했습니다. 2024년 6월 Core Scientific/CoreWeave 거래 발표 이후, 다른 여러 상장 채굴 기업들도 AI/HPC로 다각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비트코인 채굴과 지속 가능성: 친환경 에너지 전환의 조력자

비트코인 채굴은 분산형 디지털 보안을 생성하기 위해 실제 경제 자원인 전력을 소비합니다. 비트코인이 디지털 화폐 시스템으로서 성공하면서 채굴은 상당한 양의 전력을 소비하게 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은 이미 상당한 비율의 청정 에너지 자원을 사용하는 독특한 에너지 소비자이며,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비트코인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코인 메트릭스(Coin Metrics)의 MINE-MATCH 알고리즘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난 12개월 동안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약 175 테라와트시(TWh)의 전력을 소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케임브리지 대체 금융 센터(Cambridge Centre for Alternative Finance)의 추정치와 유사합니다. 2023년 데이터(최신 이용 가능)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에너지 소비는 전 세계 총 전력 사용량의 0.2%를 차지했습니다(송전 과정에서 손실된 전력 제외). 케임브리지 대체 금융 센터에 따르면, 데이터 센터는 연간 약 200 TWh의 전기를 소비하며, AI 모델 사용으로 인해 데이터 센터 에너지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비트코인은 일반 가정이나 상업용 사용자와는 다른 독특한 에너지 소비자입니다. 비트코인 채굴은 모듈식이고 휴대 가능하며,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중단 가능하며, 전력 가격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결과적으로 채굴자들은 저렴한 청정 에너지 자원이 있는 곳에서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트코인 채굴 산업에서 사용되는 전기의 약 50%~60%가 지속 가능한 자원(원자력 포함)에서 나옵니다. 미국과 전 세계적으로 전력 생산의 지속 가능한 비중은 약 40%입니다. 2023년 데이터(최신 이용 가능)를 사용하고 비트코인 전기 소비의 지속 가능한 비중을 50%~60%로 가정하면, 비트코인 채굴이 전력 생산과 관련된 전 세계 CO2 배출량의 0.2%~0.3%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비트코인 채굴이 향후 몇 년 동안 재생 에너지 생산 채택을 가속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비트코인 채굴은 독특한 특성 덕분에 재생 에너지 인프라 개발에 대한 투자를 장려하며, 특히 주요 인구 밀집 지역으로의 송전이 어려운 지역에서 더욱 그렇습니다. 비트코인 채굴은 또한 소비 패턴과 날씨로 인해 변동하는 전력망 수요를 안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텍사스주의 ERCOT(Electric Reliability Council of Texas) 시스템에서 입증된 바 있습니다. 별도로 Sustainable Bitcoin Protocol과 같은 스타트업은 청정 에너지 사용을 장려하고 메탄 배출량 감소 노력을 보상하기 위한 시장 기반 메커니즘을 만들었습니다. 메탄 배출량 해결은 비트코인 채굴자들이 환경 목표에 기여할 수 있는 특히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메탄은 유전 생산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천연가스를 태울 때 배출됩니다. Crusoe Energy와 같은 기업은 초과 천연가스를 방출하는 대신 포집하여 전기로 변환하고 비트코인 채굴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기술 사용의 증가는 향후 디지털 자산, AI 및 기타 산업에서 전력 생산에 대한 상당한 수요를 창출할 것입니다. 그레이스케일은 비트코인이 글로벌 전력 인프라의 건전한 기능에 기여하며, 다른 많은 산업에 비해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독특하게 기여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핵심사항 5가지

  • 비트코인 채굴: 네트워크 보안과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경쟁적인 과정입니다.
  • 천문학적 규모: 초당 700 퀸틸리언 이상의 해시를 생성하며 디지털 금고를 지킵니다.
  • 수익성 있는 사업: 새로운 비트코인 발행과 거래 수수료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 친환경 기여: 전 세계 전력 사용량의 0.2% 차지하며 재생 에너지 사용을 장려합니다.
  • 미래 성장 동력: AI, HPC 서비스로 사업을 다각화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합니다.

전체 요약

비트코인 채굴은 블록체인 보안의 핵심이자 디지털 화폐 시스템의 근간입니다. 초당 700 퀸틸리언 이상의 해시를 생성하며, 이는 엄청난 규모의 컴퓨팅 파워를 요구합니다. 채굴자들은 새로운 비트코인 발행과 거래 수수료로 수익을 얻으며, 최근에는 AI 및 고성능 컴퓨팅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채굴은 전 세계 전력 사용량의 0.2%를 차지하지만, 재생 에너지 활용을 촉진하고 전력망 안정화에 기여하며 친환경 에너지 전환의 중요한 조력자가 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은 Grayscale Research가 2025년 2월 13일에 작성한 "The Power of Bitcoin Mining"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기술 중심의 나스닥 100 주식과 비트코인은 서로 다르지만 보완적인 포트폴리오 노출 자산입니다. 특히 나스닥 100 지수의 비중 일부를 비트코인으로 대체하는 것이 투자 수익을 높이고, 위험을 줄이면서도 수익률을 유지하거나, 효율적 투자선(efficient frontier)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비트코인,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성장 동력

 

나스닥 100 지수는 기술 중심의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비금융 기업 중 상위 100개 기업을 포함하며, 비트코인은 최초의 공개 블록체인이자 시가총액 기준 최대 암호화폐입니다. 이 두 자산은 모두 경제의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고성장 투자처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나스닥 100 주식 비중을 비트코인으로 일부 대체하면 미국 주식 집중 위험을 줄이고 위험 조정 수익률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집니다.

 

나스닥 100과 비트코인의 상관관계 및 수익률 분석

 

2019년 이후 비트코인의 월별 수익률은 나스닥 100 지수 수익률과 약 40%의 중간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동시에 비트코인의 연간 변동성은 71.5%로 나스닥 100 지수의 20.5%보다 훨씬 높았지만, 장기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의 높은 위험을 높은 수익률로 보상받았습니다. 이 기간 동안 비트코인의 누적 수익률은 나스닥 100의 약 3배 상승에 비해 약 30배 상승하며 거의 10배 더 높은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두 자산 모두 샤프 비율은 1.0으로 나타났습니다.

 

 

비트코인, 포트폴리오 수익률 향상의 열쇠

 

2019년 이후 나스닥 100 지수는 연간 22.2%의 수익률과 20.5%의 변동성으로 샤프 비율 1.0을 기록했습니다. 만약 포트폴리오의 90%를 나스닥 100에, 10%를 비트코인에 할당했다면, 연간 수익률은 28.8%, 변동성은 22.4%로 샤프 비율 1.2를 달성했을 것입니다. 즉, 비트코인 할당은 포트폴리오를 더 높은 위험-수익 혼합으로 이동시키면서 일부 분산 효과와 약간 더 높은 샤프 비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수익률 유지하며 위험 낮추는 비트코인 활용법

 

비트코인의 높은 변동성을 고려하여 비트코인과 현금을 함께 할당하는 포트폴리오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9년 이후 나스닥 100에 90%, 비트코인에 3%, 현금에 7%를 할당한 가상의 포트폴리오는 연간 수익률 22.9%, 변동성 19.4%를 기록하여 샤프 비율 1.1을 달성했을 것입니다. 이는 나스닥 100 단독 포트폴리오에 비해 수익률은 약간 높으면서도 변동성은 현저히 낮아진 결과입니다. 이는 비트코인이 높은 위험과 높은 기대 수익률을 동시에 제공하여 포트폴리오의 자본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효율적 투자선 확장을 통한 최적의 포트폴리오 구성

 

비트코인과 현금(또는 비교적 낮은 변동성 주식)의 다양한 조합은 투자자가 효율적 투자선을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즉, 더 높은 변동성 없이 더 높은 기대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2019년 이후 나스닥 100에 90%, 비트코인과 현금에 각각 5%씩 할당한 가상의 포트폴리오는 연간 수익률 24.6%, 연간 변동성 20.2%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나스닥 100 단독 포지션보다 약 2%포인트 더 높은 연간 수익률을 비슷한 변동성으로 달성할 수 있었음을 의미합니다.

 

투자 시 유의사항

 

물론, 투자자는 암호화폐에 투자하기 전에 자신의 상황과 재무 목표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암호화폐는 고위험 자산으로 간주되며, 단기적인 자본 니즈가 있거나 위험 회피 성향이 높은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혁신적인 기술에 대한 고성장 노출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비트코인은 나스닥 100 주식과 같은 기존 할당을 보완하고 미국 주식 집중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핵심사항 5가지

  • 나스닥 100과 비트코인은 고성장 디지털 전환 투자처입니다.
  • 비트코인은 나스닥 100 대비 높은 수익률과 변동성을 보입니다.
  •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 추가 시 수익률 향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 비트코인과 현금 조합으로 위험을 줄이면서 수익률 유지가 가능합니다.
  • 효율적 투자선 확장을 통해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전체 요약

나스닥 100과 비트코인은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성장 자산입니다. 비록 비트코인이 높은 변동성을 보이지만, 나스닥 100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 일부를 추가하거나 현금과 조합하면 투자 수익률을 높이고, 위험을 줄이며, 효율적 투자선을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습니다. 단, 암호화폐 투자는 고위험 자산임을 인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성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이 글은 그레이스케일이 2025년 2월 13일에 작성한 Nasdaq 100 vs. Bitcoin: Positioning Portfolios for Growth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푸트니크 모멘트"로 불리는 DeepSeek의 AI 모델 출시는 AI 우위를 향한 국제적인 경쟁과 오픈소스 기술의 힘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이는 데이터 보안, 편향성, 검열 등 중앙 집중식 AI 개발과 관련된 위험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중앙 집중식 AI 기업의 위험은 Bittensor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 AI 플랫폼을 통해 해결될 수 있습니다.

Bittensor는 분산형 네트워크와 경제적 인센티브를 활용하여 개방적이고 글로벌한 AI 시스템 개발을 촉진합니다. 블록체인 기술과 글로벌 참여자 네트워크를 활용함으로써 Bittensor와 같은 플랫폼은 AI 시스템의 투명성을 높이고, 접근성을 민주화하며, 소유권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Grayscale Research는 DeepSeek의 등장이 오픈소스 분산형 AI 프로젝트의 비용을 절감하고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 기반 스타트업 DeepSeek은 OpenAI의 O1과 같은 선도적인 모델과 비교하여 성능이 동등하거나 그 이상인 오픈소스 인공지능(AI) 모델을 출시했습니다. 놀랍게도 DeepSeek은 훨씬 적은 컴퓨팅 자원으로 이를 달성했으며, 모델 훈련에 약 5백만 달러를 지출했다고 알려졌는데, 이는 OpenAI가 훈련에 수억 달러를 지출한 것에 비하면 극히 일부입니다. 1월 27일까지 DeepSeek은 Apple App Store 순위에서 OpenAI의 ChatGPT를 추월했습니다.

기술 선도 기업들은 이를 AI의 "스푸트니크 모멘트"라고 부르며, 우리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중국과 미국 간의 현대판 우주 경쟁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DeepSeek의 등장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기술 주식의 대규모 매도를 야기하며 수십억 달러의 가치 손실을 가져왔는데, 이는 투자자들이 이 강력한 신흥 기술에 대한 기존 가정을 재고하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DeepSeek의 혁신이 오픈소스 AI의 힘을 보여주는 동시에, AI 기술의 중앙 집중식 제어 및 개발과 관련된 위험에 대한 더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DeepSeek의 새로운 모델 성능에 대한 소식이 전해진 직후, DeepSeek은 대규모 사이버 공격의 희생양이 되어 일시적으로 사용자 가입을 제한해야 했습니다. 이 사건은 중앙 집중식 시스템에 내재된 취약점, 즉 사이버 공격으로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는 위험을 강조합니다. 분산형 시스템은 여러 엔티티에 책임을 분산시켜 네트워크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AI 모델의 분산형 개발은 이 중요한 기술의 편향성을 줄이고 투명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중앙 집중식 AI 개발과 관련된 이러한 위험을 탐색하고, Bittensor와 같은 분산형 AI 플랫폼이 이러한 위험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자세히 설명할 것입니다. 또한 Bittensor의 현재까지의 진행 상황과 DeepSeek이 분산형 AI의 광범위한 발전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살펴볼 것입니다.

중앙 집중식 AI의 위험

네트워크 효과와 막대한 자본 요구 사항으로 인해 대형 기술 기업 외의 많은 AI 개발자들, 예를 들어 소규모 기업이나 학술 연구자들은 AI 개발에 필요한 자원에 접근하기 어렵거나 자신의 작업을 수익화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AI 경쟁과 혁신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중요한 기술에 대한 영향력은 소수의 거대 기술 기업의 손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검열과 편향성에 대한 심각한 질문을 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 2월 구글의 AI 이미지 생성기 Gemini는 인종적 편향과 역사적 부정확성을 드러냈는데, 이는 기업이 모델을 조작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이러한 우려는 DeepSeek에도 적용됩니다. 일부는 DeepSeek의 모델이 특정 정부 비판 콘텐츠를 검열하여 "명확한 친중국 공산당 편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1989년 톈안먼 광장 사건이나 시진핑 중국 주석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을 거부합니다.

이는 AI 거버넌스에 대한 더 넓은 질문을 던집니다. 소수의 사람들이 사회를 점점 더 형성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몇 안 되는 모델을 개발하는 기업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합니다. AI의 영향력과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은 한 회사나 정부가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AI 모델에 대한 의사 결정권을 가지게 되어, 잠재적으로 가드레일을 부과하거나, 비공개로 운영하거나,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모델을 조작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이는 결국 사회 전체의 희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모델을 신뢰할 수 있도록 어떻게 보장할 수 있을까요? 진정한 투명성이 부족하고 이해관계가 너무 높은 상황에서,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이 우리의 이익을 위해 구축되고 있으며 우리의 희생으로 구축되지 않는다고 어떻게 신뢰할 수 있을까요?

분산형 AI와 Bittensor

이러한 도전에 대한 잠재적인 해결책으로 분산형 AI가 등장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과 글로벌 참여자 네트워크를 활용함으로써 Bittensor와 같은 플랫폼은 AI 시스템의 투명성을 높이고, 접근성을 민주화하며, AI 시스템의 소유권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Grayscale Research는 분산형 AI가 AI 개발에 관한 중요한 결정을 폐쇄적인 환경에서 벗어나 대중의 소유로 가져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Bittensor가 이러한 위험을 해결하고 중앙 집중식 AI 기존 기업에 대한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핵심 분산형 AI 플랫폼으로서 매력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믿습니다.

Bittensor란?

Bittensor는 분산형 네트워크와 경제적 인센티브를 사용하여 개방적이고 글로벌한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을 촉진하는 플랫폼입니다. 이는 각각 다른 특정 사용 사례에 초점을 맞춘 "서브넷"이라는 상호 연결된 생태계를 가진 "AI 인터넷"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현재 Bittensor는 비디오 생성, AI 에이전트, 딥페이크 탐지 등 광범위한 응용 프로그램 및 사용 사례를 포괄하는 50개 이상의 서브넷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Bittensor가 중앙 집중식 AI와 관련된 우려 사항을 해결하려는 방법입니다.

  • 경제적 인센티브 조정: 중앙 집중식 AI 기업은 주주 가치와 이익을 우선시하며, 종종 사용자로부터 가치 추출을 초래합니다. 대조적으로, TAO 토큰을 사용함으로써 Bittensor는 사용자와 토큰 보유자를 포함한 생태계 참여자 간의 인센티브를 조정합니다.
  • AI 구축 및 사용에 대한 무허가 액세스: 많은 중앙 집중식 AI 플랫폼은 종종 개발자에게 높은 진입 장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AI가 강력해짐에 따라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축하거나 액세스할 수 있는 사람에 대한 제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Bittensor는 AI를 개발하고 사용하는 데 필요한 리소스에 액세스하는 데 허가가 필요 없는 대안을 제공합니다.
  • 오픈소스 수익화: DeepSeek의 R1 및 Meta의 Llama와 같은 오픈소스 AI 모델은 이점을 제공하지만, 오픈소스 AI는 여전히 수익화 및 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Bittensor는 TAO 토큰 방출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여 AI 개발자가 자신의 작업을 수익화하고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우리는 Bittensor의 토큰(TAO)이 다음과 같은 이유로 현재 특히 매력적인 투자를 제공한다고 믿습니다.

  • 위에 설명된 중앙 집중식 AI와 관련된 우려 사항을 해결할 잠재력
  • Yuma와 같은 생태계 투자자 및 Masa(데이터 스크래핑 및 AI 에이전트 아레나), Dippy(AI 역할극 앱), Kaito(분산형 검색)와 같은 서브넷 빌더 온보딩의 진행
  • 개별 서브넷에 대한 투자를 가능하게 할 2월에 예정된 동적 TAO("dTAO") 업그레이드; 우리는 이것이 Bittensor 생태계에 새로운 유동성의 물결을 주입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  

더 넓은 분산형 AI 환경

최근까지 일부 사람들은 오픈소스 AI가 항상 거대 기술 기업이 제공하는 최고 성능의 비공개 소스 모델보다 뒤처질 것이라고 생각했을 수 있습니다. DeepSeek은 이것이 반드시 앞으로의 경우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핵심 AI 혁신은 고립되어 위에서 아래로 전달될 필요가 없습니다.

Grayscale Research는 다양한 분산형 AI 자산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DeepSeek 개발은 효율성 향상이 학습되고 적용됨에 따라 분산형 AI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개선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DeepSeek의 고성능 오픈소스 모델에 대한 액세스는 특히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많은 오픈소스 분산형 AI 프로젝트의 비용을 절감하고 진입 장벽을 낮춥니다.

 

우리는 이미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분산형 AI 에이전트 런치패드 ai16z는 이미 ELIZA 프레임워크로 구축하는 에이전트가 DeepSeek의 모델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1월 27일, 사용자 데이터를 로컬 장치에 보존하면서 DeepSeek 모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인 Venice.ai는 토큰을 출시했으며, 이는 출시 2시간 만에 10억 달러 이상의 가치에 도달했습니다.

 
 

결론

DeepSeek의 등장과 같은 발전이 AI, 국제 기술 우위 경쟁, 그리고 사회의 지형을 계속해서 형성함에 따라, Grayscale Research는 중앙 집중화의 위험을 해결하는 분산형 솔루션을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독점적인 통제로부터 잠재적으로 보호하고, 보다 안전한 AI의 미래를 육성할 수 있습니다.

핵심사항 5가지

  • DeepSeek의 등장은 AI 분야의 국제 경쟁 심화와 오픈소스 기술의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 중앙 집중식 AI는 데이터 보안, 편향성, 검열 등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 Bittensor와 같은 분산형 AI는 블록체인 기술로 투명성, 접근성, 소유권 분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 DeepSeek은 오픈소스 AI의 비용을 낮추고 진입 장벽을 줄여 분산형 AI 발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AI 기술의 공정하고 안전한 발전을 위해 분산형 솔루션 채택이 중요합니다.

전체 요약

DeepSeek의 AI 모델 출시는 AI 분야의 "스푸트니크 모멘트"로 불리며, 오픈소스 기술의 잠재력과 함께 중앙 집중식 AI의 위험을 드러냈습니다. 데이터 보안, 편향성, 검열 등의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Bittensor와 같은 분산형 AI 플랫폼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분산형 AI는 투명성을 높이고 접근성을 민주화하며 소유권을 분산시켜 AI 개발의 공정성과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Will Ogden Moore와 Michael Zhao가 2025년 2월 3일에 작성한 "The AI "Sputnik Moment," DeepSeek, and Decentralized AI"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최근 인공지능(AI) 도구들의 발전 덕분에 사람들이 의료 자문을 구하는 방식이 바뀌고 있는 것처럼,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2025년 1월은 정책 및 기술적 변화의 물결로 인해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닥터 구글' 시대가 저물고 '닥터 챗GPT' 시대가 열린 것에 비유할 수 있을 만큼,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정책 변화는 디지털 자산 산업의 미래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암호화폐 시장을 뒤흔든 주요 변화들

2025년 1월은 암호화폐 시장에 있어 매우 활발한 한 달이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암호화폐 시장 가치는 7% 상승했으며, 비트코인은 월간 9% 상승하여 한때 10만 9천 달러에 육박하는 등 놀라운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상승세 뒤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정책과 기술 혁신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정책 대격변

 

트럼프 행정부는 암호화폐에 대한 포괄적인 행정 명령을 발표하며 디지털 자산 산업의 핵심 원칙들을 보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디지털 자산 자체 보관 권리(self-custody)를 명시하고,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의 발전과 성장을 촉진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같은 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기존 금융 기관들이 암호화폐 자산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책 지침인 SAB 122를 발표하며 이전의 규정(SAB 121)을 철회했습니다. 이는 전통 금융권의 암호화폐 시장 참여를 활성화할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됩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인 1월 20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백악관은 "디지털 금융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리더십 강화"라는 제목의 암호화폐 정책 행정 명령(EO)을 발표하며, 개방형 네트워크 접근권,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 채굴 및 스테이킹 참여, P2P(개인 간) 거래, 그리고 디지털 자산 자체 보관 권리 등 산업의 근본 원칙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혔습니다. 또한, 개인과 기업이 전통적인 은행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호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행정 명령이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의 합법적이고 정당한 개발 및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행정부 정책으로 명시했다는 것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인프라를 활용하여 미국 달러와 같은 법정 통화로 거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현재 총 발행 가치가 2천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유럽 연합(EU)의 MiCA(Markets in Crypto Assets) 규제가 작년 말 전면 발효되면서 스테이블코인 정책이 포함되었고, USDC는 MiCA 규제에 부합하는 반면 Tether(USDT)는 그렇지 않아 최근 USDC의 시장 점유율이 상승하는 데 기여했을 수 있습니다. Tether는 1월에 유럽 시장 전략을 발표했으며,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에 USDT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마지막으로, 행정 명령은 '국가 디지털 자산 비축고의 잠재적 생성 및 유지'를 평가하도록 실무단에 지시했습니다. Grayscale Research는 백악관이 이 약속을 이행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연방 정부가 공개 시장에서 비트코인을 매입하기 위해 세금을 인상하거나 자금을 차입할지는 불확실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2. 기술 혁신과 탈중앙화 AI의 부상

 

중국 AI 연구소 DeepSeek의 기술적 돌파는 탈중앙화 AI 모델 및 관련 인프라의 필요성을 부각시켰습니다. 1월 20일, 중국 스타트업 DeepSeek은 새로운 오픈 소스 AI 모델인 R1을 출시했습니다. 동시에 DeepSeek 소식은 데이터 보안, 편향, 검열 등 중앙 집중식 AI 개발과 관련된 위험을 강조했으며, 이러한 위험은 Bittensor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 AI 플랫폼을 통해 해결될 수 있습니다.

 

Bittensor는 다양한 특정 사용 사례에 초점을 맞춘 "서브넷"이라고 불리는 상호 연결된 생태계를 통해 "AI 인터넷"을 만들고자 하는 탈중앙화 네트워크입니다. 2월 중순에는 개별 서브넷에 대한 투자를 가능하게 하는 '동적 TAO(dTAO)'라는 주요 네트워크 업그레이드가 예정되어 있어, Bittensor 생태계에 새로운 유동성을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DeepSeek의 고성능 오픈 소스 모델에 대한 접근성은 많은 오픈 소스 탈중앙화 AI 프로젝트, 특히 AI 에이전트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비용을 절감하고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이미 탈중앙화 AI 에이전트 런치패드인 ai16z(ELIZAOS로 리브랜딩)는 ELIZA 프레임워크로 구축하는 에이전트가 DeepSeek 모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3. 밈 코인(Memecoin) 시장의 활황: $TRUMP와 $MELANIA의 등장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가족은 솔라나(Solana) 블록체인에서 밈 코인인 $TRUMP와 $MELANIA를 출시했습니다. 1월 31일 기준으로 이 토큰들의 완전히 희석된 가치는 상당한 수준에 달했습니다. 밈 코인은 실제 유틸리티를 제공한다고 주장하지 않지만, 특정 커뮤니티 구성원들에게는 물리적인 수집품처럼 오락의 형태로 경제적 가치를 가질 수 있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도지코인(Dogecoin)이 밈 코인 중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과 시가총액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솔라나 블록체인에서는 밈 코인 발행 활동이 급증했습니다. 이는 주로 사용자들이 자체 밈 코인을 생성하고 배포할 수 있는 혁신적인 플랫폼인 pump.fun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지난 1년간 솔라나에서는 약 700만 개의 새로운 밈 코인이 생성되었으며, pump.fun에서는 하루 평균 약 6만 개의 새로운 토큰이 발행되고 있습니다. 밈 코인 거래는 거래 수수료를 발생시키고 솔라나 토큰 보유자들에게 가치를 부여합니다. 솔라나 블록체인의 수수료 수익은 지난 1년 동안 이더리움(Ethereum)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솔라나의 (완전히 희석된) 시가총액은 이더리움의 35%에 불과합니다.

 

핵심사항 5가지

  •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지지: 디지털 자산 자체 보관 및 스테이블코인 성장을 지원하는 행정 명령 발표.
  • SEC 규제 완화: 금융기관의 암호화폐 자산 보관을 허용하는 SAB 122 발표로 시장 참여 확대.
  • 탈중앙화 AI 부상: DeepSeek의 기술 혁신이 Bittensor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 AI 플랫폼의 중요성 부각.
  • 밈 코인 시장 활황: 트럼프 관련 밈 코인 출시 및 솔라나 기반 pump.fun의 폭발적인 성장.
  • 지속적인 변화와 분석의 중요성: 암호화폐 시장은 정책, 기술, 거시 경제 요인에 따라 끊임없이 진화.

전체 요약

2025년 1월, 암호화폐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디지털 자산 옹호 정책(자체 보관 권리 및 스테이블코인 성장 지원)과 SEC의 규제 완화(금융기관의 암호화폐 보관 허용)로 인해 큰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동시에 중국 DeepSeek의 AI 기술 혁신은 Bittensor와 같은 탈중앙화 AI 모델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트럼프 관련 밈 코인($TRUMP, $MELANIA) 출시와 솔라나 기반 pump.fun의 활성화로 밈 코인 시장 또한 급성장했습니다. 이러한 정책, 기술, 시장의 복합적인 변화는 디지털 자산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Research Team이 2025년 2월 3일에 작성한 "January 2025: Remake of U.S. Crypto Policy Underway"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게 예전보다 어려워진 요즘, 전통 자산들의 수익률은 특정 분야에만 몰리고 상관관계도 변하고 거시경제 리스크까지 더해지고 있죠. 그레이스케일에서는 암호화폐(크립토) 자산이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어요.

크립토 자산은 비트코인처럼 화폐 시스템 역할을 하는 것부터 아베(Aave)처럼 대출 프로토콜, 비텐서(Bittensor)처럼 오픈소스 AI 플랫폼까지 정말 다양한 기술을 아우르고 있어요. 이쯤 되면 투자 자산 배분할 때 "이걸 상품으로 봐야 하나, 아니면 기술 투자로 봐야 하나?" 같은 고민이 들 수밖에 없겠죠?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크립토를 독특하고 변동성이 큰 대체 자산군으로 보고 있어요. 전통적인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면 위험 조정 수익률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고 있고요. 개별 자산들은 다양하지만, 모두 공개 블록체인이라는 동일한 기반 기술을 사용하고 대부분 초기 단계 투자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초기 단계 투자 옵션인 벤처 캐피탈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시장 구조예요. 블록체인 기반 자산들은 유동성이 높고 전 세계에서 24시간 거래되며, 많은 개인 투자자들도 참여하고 있죠. 이렇게 초기 단계 투자가 유동적인 공개 시장에서 누구나 거래할 수 있다는 점이 포트폴리오 구성에 도움이 되는 통계적 특성을 만들어낸답니다.


크립토 자산의 특별한 행동 양식 4가지

크립토 자산은 비교적 짧은 역사 속에서 크게 네 가지 통계적 특징을 보여줬어요.

  1. 높은 변동성: 크립토는 정말 독특하게도 변동성이 엄청 큰 주요 자산군이에요. 2017년 초부터 투자 가능한 디지털 자산의 시가총액 가중 지수는 연간 95%의 변동성을 기록했고요, 비트코인도 같은 기간 83%의 변동성을 보였어요. S&P 500 지수가 연간 16%, 나스닥 100 지수가 19%였던 것과 비교하면 정말 어마어마하죠. 이런 변동성은 천연가스처럼 가격 변동성이 큰 특정 상품이나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투자 전략과 비슷해요. 이 때문에 크립토 자산은 고위험 자산으로 간주해야 하며, 포트폴리오에 넣기 전에 꼭 기억해야 할 첫 번째 고려 사항이에요.
  2. 변동성에 걸맞은 수익률: 동시에 비트코인과 디지털 자산 전체(시가총액 가중 지수 기준)는 높은 변동성에 상응하는 수익률을 보여줬어요. 쉽게 말해, 크립토 자산은 투자자들에게 높은 위험만큼 높은 수익으로 보상해줬다는 거죠. 예를 들어, 2017년 초부터 투자 가능한 크립토 자산의 시가총액 가중 지수는 연간 69%의 수익률을 기록했어요. 연간 변동성이 95%였으니, 수익률 대비 변동성 비율은 약 0.7이었죠. 같은 기간 S&P 500 지수는 16%의 변동성으로 연간 14%의 수익률을 내서, 이 비율이 약 0.9였고요. 10년 이상 긴 기간을 보면, 주요 자산군들의 수익률 대비 변동성 비율이 보통 0.5~1.0 범위에 있었는데, 크립토도 이 범위에 속한답니다. 즉, 높은 변동성을 감안하면 크립토의 수익률은 다른 자산군들과 견줄 만하다는 뜻이에요.
  3. 전통 자산과의 낮은 상관관계: 높은 변동성과 높은 수익률은 레버리지를 사용해서도 얻을 수 있어요. 하지만 전통 자산에 레버리지를 추가한다고 해서 상관관계가 달라지는 건 아니어서, 위험 조정 수익률을 개선하는 데는 쓸 수 없죠. 크립토 자산은 높은 위험과 높은 잠재적 수익을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전통 자산과 낮은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점에서 아주 독특해요. 이 낮은 상관관계가 바로 포트폴리오 분산의 '비밀 병기'라고 할 수 있죠. 그래서 데이터 기반의 포트폴리오 최적화 방식에서는 크립토 자산을 포트폴리오에 포함하는 역할을 중요하게 본답니다.
  4. 높은 모멘텀: 주식이나 채권에 비해 크립토 자산의 과거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높은 모멘텀을 보여요. 즉, 오르면 계속 오르고 내리면 계속 내리는 경향이 있다는 거죠. 이런 점에서 디지털 자산 수익률은 환율이나 원자재 자산 수익률과 더 비슷해요. 높은 변동성과 높은 모멘텀의 조합은 크립토 자산이 가끔 큰 폭의 이득을 내기도 하고, 또 큰 폭으로 하락하기도 한다는 뜻이에요. 분산된 포트폴리오에 크립토를 넣는 투자자라면 위험 관리를 위해 추세 추종 전략을 고려해 볼 수도 있답니다.

물론, 크립토 자산군은 이미 상당한 규모로 성장했지만 여전히 비교적 '어린' 자산군이라 통계적 특성이 시간이 지나면서 바뀔 수도 있어요. 비트코인처럼 좀 더 성숙한 디지털 자산의 경우 이미 가격 변동성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고요.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공개 블록체인을 네트워크 기술로 보고 있으며, 경제 이론에 따르면 네트워크 가치는 네트워크 규모에 비선형적인 관계를 갖는다고 해요. 그래서 사용자 채택이 늘어남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 자산의 통계적 수익률 행동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투자자들이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합니다.


"조금만 넣어도 효과 만점!"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투자자들은 각 자산의 예상 위험과 예상 수익, 그리고 자산 간의 예상 상관관계를 고려해서 위험 조정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조합을 찾아내곤 하죠. 크립토 자산군을 포함하는 것도 마찬가지예요. 과거 성과와 미래 수익률 변화에 대한 판단을 바탕으로 예상 위험, 수익, 상관관계를 고려해야 해요.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비트코인을 전통적인 주식-채권 60/40 포트폴리오에 포함하는 것을 기본 예시로 들었어요. 몬테카를로 방법을 사용해서 비트코인 비율을 다르게 한 가상 포트폴리오를 시뮬레이션했죠. 그리고 포트폴리오의 예상 연간 수익률과 연간 변동성을 추정하고 예상 샤프 지수(Sharpe Ratio)를 계산했어요. 기본 예시에서는 비트코인의 미래 수익률 분포가 2014년 이후의 실제 수익률과 일치한다고 가정했고요.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고전적인 60/40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을 조금씩 추가할수록 예상 샤프 지수가 처음에는 상승하는 걸 볼 수 있어요. 비트코인이 변동성이 큰 자산이기는 하지만, 높은 수익률과 전통 자산과의 낮은 상관관계를 제공해서 분산 효과를 가져다주기 때문이죠. 샤프 지수는 비트코인이 전체 포트폴리오의 약 5%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상승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정체되기 시작했어요. 이 지점 이후에는 비트코인 할당을 늘려도 위험 조정 수익률이 더 이상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거죠.

크립토는 변동성이 큰 자산군이기 때문에 조금만 넣어도 효과가 커요. 비트코인이나 다른 디지털 자산에 아주 적은 비중만 할당해도 총수익률과 위험 조정 수익률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는 얘기죠. 예를 들어, 전통적인 60/40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을 1%, 3%, 5%씩 추가했을 때 가상적인 사후 영향(ex-post impact)을 보면, 연간 수익률이 이 기간 동안 0.6~3.3%포인트 증가하고, 포트폴리오 샤프 지수도 0.05~0.22%포인트 증가했어요. 총수익률과 위험 조정 수익률이 모두 증가하지만, 포트폴리오 위험(최대 낙폭 포함) 또한 증가한다는 점은 꼭 강조해야 해요.

물론, 이건 특정 가정 하에 이루어진 하나의 시뮬레이션일 뿐이고, 미래 수익률이 과거와 같다는 보장은 없어요. 투자자들은 자본을 배분하기 전에 크립토 자산 수익률의 다양한 가능한 결과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과거 결과에 따르면 약 5% 할당이 위험 조정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비트코인의 수익률이 미래에 감소하거나 다른 자산군과의 상관관계가 증가한다면 더 낮은 비중이 적절할 수도 있겠죠.

 


투자자들이 궁금해하는 4가지 질문

전통적인 포트폴리오 최적화 기법이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지만, 크립토 자산군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은 종종 다양한 실제 구현 문제에 부딪히곤 해요. 분산 포트폴리오에 크립토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 네 가지를 정리해봤어요.

  1. 비트코인 외 다른 크립토 자산을 고려하면 포트폴리오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나요? 비트코인보다 시가총액이 낮은 크립토 자산들, 즉 '알트코인'으로 불리는 것들은 일반적으로 가격 변동성이 더 높고, 더 높은 위험으로 간주해야 해요. 게다가 사용 사례, 시가총액, 전통 자산과의 상관관계 면에서 자산 범위가 매우 다양하죠. 광범위한 크립토 시장 성과 지수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 동안 알트코인은 비트코인보다 총수익률과 위험 조정 수익률이 다소 낮았지만, 미래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어요. 최소한, 알트코인에 할당을 고려하는 투자자라면 더 높은 개별 자산 위험을 반영하여 분산된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하고, 토큰별 펀더멘털을 평가하는 접근 방식을 고려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과거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본다면, 저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은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을 포함하는 시가총액 가중 바구니의 크립토 자산에 대해서도 약 5%의 할당이 예상 위험 조정 수익률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제안하고 있어요.
  2. 크립토를 추가할 때 기존 포트폴리오에서 어디를 줄여야 할까요? 분산된 포트폴리오에서 크립토 자산군은 수익률 개선, 분산 효과, 또는 둘 다를 제공할 수 있어요. 따라서 기존에 이러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금 및 기타 상품, 소형주 및 해외 주식, 또는 기술주와 같은 할당을 대체할 수 있죠. 크립토는 또한 특정 사모 투자(예: 사모펀드, 벤처 캐피탈, 또는 인프라)를 대체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포트폴리오 유동성을 더 높여줄 수도 있어요. 크립토 자산군은 다른 자산군보다 높은 위험과 높은 잠재적 수익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포트폴리오 전체의 자본 효율성에 기여할 수 있어요.
  3. 과거에 얼마나 자주, 얼마나 크게 하락했나요? 비트코인은 역사상 네 번의 장기적인 하락기를 겪었어요. 월별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 기간 동안 평균 최고점 대비 하락 폭은 77%에 달했죠. 위에서 언급했듯이, 추세 추종 전략은 잠재적으로 하방 위험을 관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요. 더 작은 하락 사례는 훨씬 많았고요. 예를 들어, 가장 최근의 크립토 시장 상승기(2018년 12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동안 비트코인 가격은 약 21배 상승했어요. 하지만 이 기간 동안 비트코인 가격은 총 11번이나 10% 이상 하락했죠. 이전의 크립토 시장 상승기(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에는 비트코인 가격이 총 11번이나 20% 이상 하락했어요.
  4. 비트코인을 방어 자산으로 봐야 할까요? 그레이스케일 리서치는 비트코인이 가치 저장 수단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믿어요. 희소하고 특정 기관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실질 가치(즉,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가치)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죠. 하지만 현재 비트코인을 경기 침체나 다른 위험 회피 기간 동안 포트폴리오 변동성을 완화할 수 있는 방어 자산으로 봐서는 안 돼요. 비트코인은 변동성이 높은 자산이며 주식 시장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고, 일반적으로 위험 회피가 증가할 때 하락하는 경향이 있어요. 게다가 적어도 현재로서는 금과 단기 미국 국채는 지정학적 위험이 증가할 때 비트코인보다 더 좋은 성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크립토의 역할

디지털 자산 투자가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 분석에서는 전통적인 60/40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대표적인 투자자를 고려했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재정적 필요에 맞는 여러 유형의 포트폴리오가 존재하죠. 예를 들어, 일부 투자자는 다가오는 지출(예: 주택 구매 또는 대학 등록금)을 위해 자본이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낮은 변동성 자산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요. 크립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력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 상당한 가치를 잃을 수도 있는 고변동성 자산군이에요. 또한, 일부 투자자는 고정 수입 증권이나 배당금을 지급하는 주식과 같은 소득 창출 자산을 선호하죠. 일부 크립토 자산은 소득을 창출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수익은 자산의 변동성에 비해 낮을 거예요. 크립토는 주로 자본 이득을 위해 보유하는 자산군이니까요.

몇 가지 예외는 있지만, 그레이스케일 리서치 분석에 따르면 전통적인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는 크립토에 적당한 비중(총 금융 자산의 약 5%)을 할당할 때 더 높은 위험 조정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해요. 크립토는 높은 위험/높은 수익 잠재력을 가진 자산군이며 주식과의 상관관계도 낮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오늘날 직면하고 있는 포트폴리오 구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잠재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죠. 크립토를 할당한다고 해서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다른 일반적인 생각들, 예를 들어 은퇴가 가까워질수록 포트폴리오 변동성을 줄이고, 가능하면 세금 우대 계좌를 사용하고, 시장 타이밍을 맞추려고 하지 않는 것 등이 바뀌는 건 아니에요.


핵심사항 5가지

  • 크립토는 높은 변동성과 잠재적 고수익을 가진 독특한 대체 자산군입니다.
  • 전통 포트폴리오에 크립토를 약 5% 편입하면 위험 조정 수익률 극대화가 가능합니다.
  • 크립토는 전통 자산과의 낮은 상관관계로 포트폴리오 분산 효과를 높여줍니다.
  • 크립토는 변동성이 크지만, 수익률 대비 변동성 비율은 다른 자산군과 유사합니다.
  • 비트코인은 가치 저장 수단이나, 방어 자산으로 보기에는 아직 어렵습니다.

전체 요약

그레이스케일 리서치에 따르면 크립토 자산은 높은 변동성과 잠재적 고수익, 낮은 상관관계를 가진 독특한 대체 자산입니다. 전통적인 60/40 포트폴리오에 크립토를 약 5% 편입하면 위험 조정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는 포트폴리오 분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비록 변동성이 크지만, 적절한 비율로 분산 투자할 경우 현재 투자자들이 직면한 포트폴리오 구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Zach Pandl과 Michael Zhao가 2025년 1월 14일에 작성한 "Crypto in Diversified Portfolios"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해지환급금 뜻

해지환급금은 보험 가입자가 보험 계약을 중도에 해지할 경우 보험사로부터 돌려받는 금액을 말합니다. 이 금액은 계약 기간 동안 납입한 보험료에서 보험사의 경비를 제외한 후 남은 금액에, 때로는 이자가 추가되어 계산됩니다.

 

해지환급금  쉬운 설명

해지환급금을 이해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적금"에 비유하는 것입니다. 적금처럼 보험료를 꾸준히 납입하면, 계약을 중도에 해지할 경우 납입한 돈 중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금과 다른 점은, 모든 납입금이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고, 때에 따라서는 해지 초기에는 거의 돈을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해지환급금  예시

예를 들어, B씨가 매달 10만 원씩 10년 동안 납입하는 생명보험에 가입했다고 합시다. 5년 후, B씨가 금전적인 이유로 보험을 해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경우, B씨가 지금까지 납입한 총액은 600만 원입니다. 하지만 해지환급금은 납입금의 전부를 반영하지 않으며, 보통 납입 기간의 절반을 넘기기 전에 해지하면 환급금은 납입한 금액의 매우 작은 비율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B씨가 받을 수 있는 환급금은 예를 들어 300만 원이 될 수 있습니다.

 

해지환급금  활용하는 방법

  • 보험 계약 이해: 보험 계약을 체결할 때, 해지환급금에 대한 조건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통 보험약관에 해지환급금 계산 방식과 시기별 환급 비율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 장기적 관점 유지: 보험은 장기적인 금융 계획의 일부이므로 가능한 한 계약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약을 일찍 해지할수록 받을 수 있는 해지환급금이 적어집니다.
  • 재정 상황 평가: 경제적 어려움이나 다른 금융 필요에 직면했을 때 해지를 고려하기 전에 다른 금융 옵션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때로는 대출이나 다른 지원 방안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해지환급금이 궁금해요

1: 보험을 해지하면 환급금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

보험을 해지한 경우, 해지환급금은 해지 신청일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보험사에서는 처리 후 몇 영업일 이내에 지급됩니다. 보통 3~5영업일 내로 환급금이 입금되며, 정확한 일정은 해당 보험사의 정책이나 해지 처리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보험 해지 후에도 보장을 받을 수 있나요?

보험을 해지하게 되면 그 시점부터 보장 혜택은 종료됩니다. 따라서 해지 이후에는 어떠한 보장도 받을 수 없으며, 이미 납입한 보험료를 기준으로 계산된 해지환급금만 받게 됩니다. 일부 보험상품에서는 부분 해지를 통해 일부 보장을 유지할 수도 있으니, 구체적인 내용은 보험 약관을 참조하거나 보험사에 문의해야 합니다.

 

3: 상속 포기나 한정 승인 상황에서 해지환급금을 받을 수 있나요?

상속 포기나 한정 승인을 고려하는 경우, 해지환급금의 처리 방식은 상속인의 결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상속 포기를 한 경우 상속인은 해지환급금을 포함한 모든 상속 재산을 포기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한정 승인을 선택한 경우, 보험 해지환급금은 채무보다 많지 않도록 관리해야 하며, 이는 고인의 채무에 대한 책임을 한정하기 위함입니다. 상황에 따라 법률적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무해지환급형 보험 뜻

무해지환급형 보험은 일반 보험 상품과 비교하여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보험 상품은 중도에 해지할 경우 환급금을 받지 못하거나 매우 적은 금액만을 받을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무해지환급형 보험  쉬운 설명

무해지환급형 보험을 이해하려면, "할인 받은 상품을 반품할 수 없는 상점"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즉, 보험료를 할인받는 대신에 보험 계약을 중도에 해지하면 그동안 납입한 보험료를 돌려받지 못하거나 매우 적은 금액만 돌려받는 것입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보험을 유지할 경우 경제적으로 이득이 될 수 있지만, 중도 해지의 경우 손실이 클 수 있습니다.

 

무해지환급형 보험  예시

예를 들어, A씨가 무해지환급형 보험에 가입하여 매달 10만 원씩 납입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보험은 일반 보험보다 보험료가 20% 저렴합니다. A씨가 계약을 계속 유지하면, 보험 기간 동안 상당한 금액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A씨가 5년 후에 보험을 해지하고자 할 때, 일반 보험 상품과 달리 무해지환급형 보험에서는 납입한 보험료의 대부분 또는 전체를 환급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무해지환급형 보험  활용하는 방법

  • 장기 목표 설정: 무해지환급형 보험은 장기간 유지할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보험 가입 전에 장기간 계약을 유지할 수 있는지 자신의 재정 상태를 고려해야 합니다.
  • 상품 비교: 무해지환급형 보험과 일반 해지환급형 보험의 보험료와 혜택을 비교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선택합니다.
  • 보험 가입: 보험 상품을 선택한 후,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고 보험에 가입합니다.
  • 중도 해지 고려 사항 이해: 중도 해지 시 환급금이 거의 없거나 매우 적다는 점을 명심하고, 가능하면 계약을 만기까지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해지환급형 보험이 궁금해요

1. 납입 기간 중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

무해지환급형 보험은 납입 기간 중 해지 시 환급금을 받지 못합니다. 만약 납입을 중단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가입 전에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2. 만기 시 얼마나 돌려받나요?

무해지환급형 보험은 만기 시 납입한 보험료의 일부를 환급받습니다. 환급률은 상품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납입한 보험료의 80~90% 정도를 돌려받습니다.

 

3. 무해지환급형과 다른 보험 상품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무해지환급형 보험은 다른 보험 상품에 비해 보험료가 저렴하지만, 납입 기간 중 해지 시 환급금을 받지 못하고, 만기 시에도 납입한 보험료의 전액을 돌려받지 못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4. 무해지환급형 보험이 좋은 사람은 누구인가요?

무해지환급형 보험은 다음과 같은 사람들에게 적합합니다.

  • 보험료 부담을 줄이고 싶은 사람
  • 납입 기간 동안 꾸준히 납입할 수 있는 사람
  • 만기 시 일부 돈을 돌려받는 것으로 만족하는 사람

5. 무해지환급형 보험 가입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무해지환급형 보험 가입 시 다음과 같은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 납입 기간 중 해지 시 환급금을 받지 못한다는 점
  • 만기 시에도 납입한 보험료의 전액을 돌려받지 못한다는 점
  • 본인의 경제 상황과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가입해야 한다는 점
반응형
반응형

저축성보험 뜻

저축성보험은 보험과 저축 기능을 결합한 금융 상품입니다. 이 보험은 보장과 함께 일정 기간 후에 환급금을 받을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재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계된 보험이며, 사망 보장 뿐만 아니라 적립된 돈을 돌려받는 혜택도 제공합니다.

 

저축성보험  쉬운 설명

저축성보험을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은 은행에 저축 계좌를 개설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저축 계좌에 돈을 입금하듯이, 저축성보험에도 정기적으로 보험료를 납입합니다. 하지만 저축 계좌와 다르게, 저축성보험은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 생명보험 혜택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계약 기간이 끝나면 납입한 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환급받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자 또는 이익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저축성보험  예시

예를 들어, 매달 10만 원씩 20년 동안 저축성보험에 납입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보험은 보험기간 동안 사망보험금을 제공하여, 만약 가입자가 사망할 경우 가족이 경제적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20년 후, 계약이 만료되면 납입한 보험료 총액과 함께 추가로 발생한 이익(이자 등)을 포함한 금액을 돌려받습니다. 이 돈은 자녀 교육비, 은퇴 자금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축성보험  활용하는 방법

  • 목표 설정: 저축성보험을 활용하기 전에 재정적 목표를 명확히 합니다. 예를 들어, 은퇴 자금, 자녀의 대학 교육비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상품 비교: 다양한 보험사의 저축성보험 상품을 비교하여 가장 적합한 조건과 이율을 제공하는 상품을 선택합니다.
    가입 절차: 선택한 보험 상품에 가입하고 정기적으로 보험료를 납입합니다.
  • 보험 관리: 보험 가입 후에도 정기적으로 계약 내용을 확인하고 필요시 조정합니다. 특히 장기적인 금융 상품인 만큼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계획을 수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만기 수령: 계약 기간 만료 시, 누적된 금액과 이익을 수령합니다.

 

저축성보험이 궁금해요

1. 저축성 보험과 보장성 보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저축성 보험은 장기적인 저축을 목적으로 하는 보험 상품으로, 일정 기간 동안 보험료를 납부하면 만기 시 약속된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보장성 보험은 사망, 질병, 상해 등의 위험에 대비하는 보험 상품으로, 보험 사고 발생 시 보험금을 지급받습니다.

 

2. 저축성 보험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요?

장점:

  • 장기적인 저축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 만기 시 약속된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일부 상품은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 보험료 납부 기간 동안 사망 시 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 보장이 있습니다.

단점:

  • 다른 저축 상품에 비해 수익률이 낮을 수 있습니다.
  • 중도 해지 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일부 상품은 해지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3. 저축성 보험에 가입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 자신의 저축 목표와 기간을 명확히 합니다.
  • 다른 저축 상품과 비교하여 수익률을 확인합니다.
  • 비과세 혜택 적용 가능 여부를 확인합니다.
  • 보험료 납부 기간 및 중도 해지 시 손실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 보장 내용을 확인합니다.
  • 여러 보험사의 상품을 비교하여 가입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소멸성보험 뜻

소멸성보험은 일정 기간 동안만 보장을 받는 보험 상품으로, 해당 기간이 지나면 보험 계약이 종료되고 납입한 보험료는 돌려받지 못하는 종류의 보험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생명보험 또는 건강보험에 적용되는 보험 형태입니다.

 

소멸성보험  쉬운 설명

소멸성보험은 마치 영화관에서 영화 티켓을 구매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영화 티켓을 구입하면 그 티켓은 특정한 시간 동안만 영화를 볼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고, 영화가 끝나면 그 티켓은 더 이상의 가치가 없어집니다. 마찬가지로 소멸성보험은 보험 기간 동안만 보장을 받고, 그 기간이 지나면 보험의 효력이 소멸되며 납입한 보험료를 돌려받지 못합니다.

 

소멸성보험  예시

예를 들어, 10년 동안 유효한 소멸성 생명보험에 가입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보험은 만약 그 10년 동안 가입자에게 무슨 일이 발생할 경우, 예를 들어 사망하거나 중대한 질병에 걸릴 경우에 금전적 보상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10년이 지난 후에는 보험 계약이 끝나며, 그동안 납입한 보험료는 돌려받지 못합니다. 가입자에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면, 그 보험료는 보험사의 수익이 되고 계약은 종료됩니다.

 

소멸성보험  활용하는 방법

  • 보험 필요성 파악: 소멸성보험은 주로 재정적 리스크가 높은 특정 기간 동안 보호를 목적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자녀의 대학 교육비를 보장하거나 특정 기간 동안의 대출을 보장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상품 선택: 소멸성보험 상품은 다양하므로, 필요한 보장 내용과 기간을 고려하여 적절한 상품을 선택합니다.
    보험 가입: 보험 가입 시 계약 조건, 보장 내용, 보험료 등을 명확히 확인하고, 가입합니다.
  • 보험 기간 동안 관리: 가입한 보험의 보장 내용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보험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장을 유지합니다.

 

소멸성보험이 궁금해요

1. 소멸성 보험과 환급형 보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소멸성 보험과 환급형 보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만료 후 혜택입니다. 소멸성 보험은 만료 후 납입한 보험료가 돌아오지 않지만, 환급형 보험은 일정 비율의 보험료를 환급받습니다. 또한, 보장 내용과 보험료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소멸성 보험은 보장 내용이 단순하고 보험료가 저렴한 반면, 환급형 보험은 보장 내용이 다양하고 보험료가 비싼 편입니다.

 

2. 소멸성 보험을 어떤 경우에 가입해야 할까요?

소멸성 보험은 저렴한 보험료로 기본적인 보장을 원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여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질병에 대비하기 위해 단기간 보장하는 여행자 보험이나, 운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자동차 자물상해 보험 등에 소멸성 보험을 가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시적인 자금 조달을 위해 저축성 보험 대신 소멸성 보험을 가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소멸성 보험 가입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소멸성 보험은 만료 후 납입한 보험료가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가입 전에 신중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우선, 본인의 필요에 맞는 보장 내용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보험료 비교를 통해 가장 저렴한 보험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소멸성 보험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가입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여행자보험 뜻

여행자보험은 여행 중에 생길 수 있는 예상치 못한 문제들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안전망'과 같습니다. 마치 자동차를 운전할 때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처럼, 여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고나 문제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여행자보험을 가입합니다.

 

여행자보험  예시

예를 들어, 여행 중에 갑자기 식중독에 걸려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경우, 여행자보험은 병원 비용을 보상해 주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여행 가방이 도착지에서 분실되었다면 보험에서는 분실된 짐의 가치를 일정 부분 보상해 줍니다.

 

여행자보험  활용하는 방법

  • 보험 선택: 여행 목적지와 예정 활동을 고려하여 적합한 보험 상품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모험적인 활동이 많은 여행이라면 상해 보험을 더 높은 한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보험 가입: 여행 시작 전에 보험에 가입합니다. 온라인이나 여행사를 통해 쉽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필요 시 클레임 제출: 여행 중에 사고나 문제가 발생했다면, 보험사에 연락하여 클레임을 제출합니다. 이때, 의료비 영수증, 경찰 보고서, 손실 물품 목록 등 증빙자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보상 받기: 클레임이 승인되면 보험에서 약속한 대로 경제적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행자보험이 궁금해

1. 여행자보험은 필수인가요?

여행자보험은 필수는 아니지만, 해외여행 시에는 가입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해외여행 중에 병이나 사고를 당했을 때, 의료비가 매우 비쌀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행자보험은 여행 취소, 항공편 지연, 짐 분실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보장도 제공합니다.

2. 어떤 여행자보험을 선택해야 할까요?

여행자보험을 선택할 때는 여행 기간, 목적지, 여행 스타일, 개인의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보장 범위와 보험료를 비교하여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여행자보험을 어디서 가입할 수 있나요?

여행자보험은 보험사 웹사이트, 여행사, 온라인 보험 비교 사이트 등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보험사와 상품을 비교하여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크롬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설정을 바꾸시지 않았다면 주소창에 검색어를 넣고 구글을 기본 검색으로 사용하실겁니다 

그런데 네이버에서 바로 검색하고 싶을 경우 주소창에 단축키처럼 여러 검색결과를 등록할 수 있지만 자주사용하는 네이버 검색을 손쉽게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네이버 검색 / Naver Quick Search

확장 프로그램명 : 네이버 검색 / Naver Quick Search

기능 : 크롬에서 손쉽게 네이버에서 검색을 가능하게 해줌

다운로드 링크 :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EB%84%A4%EC%9D%B4%EB%B2%84-%EA%B2%80%EC%83%89-naver-quick-search/gobamlfhmmmpbeiolmgeoebfciogcpoa?hl=ko




설치를 하면 크롬 우측상단에 친숙한 N로고의 아이콘이 추가 됩니다. 

네이버 검색을 원할 때 아이콘을 클릭하면 검색창이 나오며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해서 검색을 하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다들 스무고개 해보셨나요? 

한가지씩 질문을 하면서 상대방이 생각한 내용을 맞추는 놀이입니다. 


본인이 생각한 인물을 여러가지 질문을 통해서 맞추는 신통방통를 소개합니다.

실제인물, 만화캐릭터 등 다양한 범위의 캐릭터를 생각하고 질문에 답하다 보면 어어~ 하는 순간에 정답이 나오게 됩니다. 


아키네이터, 웹 지니

사이트 링크 : http://kr.akinator.com/personnages/jeu

먼저 원하는 인물을 생각한 후 "시작"을 클릭하면 여러 질문이 나오게 됩니다. 인물에 맞는 답을 고르다 보면 어느순간 생각한 답을 맞추어 버립니다. 똑똑하네요 ^^


제가 생각한 인물에 대한 마지막 질문은 "상속자들에 출현을 물어봤고 박신혜라고 정확히 맞추네요




두번째는 "유명연예인과 사귀다 헤어진적이 있냐는 질문과 함께 정우성을 정확하게 맞췄습니다.


스무고개처럼 맞추는것이 신기한 사이트였습니다. 재미삼아 가볍게 해보시길 바랍니다. (세번째는 틀렸네요 ㅋㅋ)



반응형
반응형

최근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많은 문제가 되고 있는 스미싱 문자입니다. 


링크를 따라 이동하면 원하지 않는 어플이 설치되어 금전적, 개인정보 유출 등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습니다. 


너무나 많은 문자들이 오가며 수많은 어플을 설치하고 사용하기 때문에 검증되지 않은 어플들에 대한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줄이고 스미싱, 개인정보 유출 등 스마트폰의 해킹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어플을 소개해 드립니다. 



폰키퍼, Phone Keeper

국인터넷진흥원(KISA) 에서 배포하는 스마트폰 보안 자가점검 앱인 폰키퍼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보안점검

- 스마트폰의 보안 설정을 검사하여 보안에 취약한 항목을 조치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합니다.

-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앱을 검사하여 보안에 위협되는 앱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이 사용하는 권한을 보여줍니다.

2. 보안공지

- 실시간 침해사고 정보와 대응방안에 대한 정보를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링크(안드로이드)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kisa.secheck.android&hl=ko

QR코드를 폰으로 찍어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어플을 설치한다고 모든 해킹을 막을 수 있는것은 아니며 항상 검증되지 않은 어플설치나 의심스러운 문자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좀더 완벽한 보안을 위해 좋은 어플을 활용해서 건강한 스마트폰 생활이 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크롬을 사용해서 웹서핑을 할 때 "어머! 저건 꼭 캡쳐 해야 해~" 이런 순간에 필요한 확장 프로그램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보시는 이미지를 캡쳐하고 자르거나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는 등 다양한 편집이 가능한 확장프로그램입니다. 최근에 사용하면 블로그 작성에 필요한 대부분의 이미지를 캡쳐, 편집하는데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Awesome Screenshot

기능

 - 크롬에서 화면을 이미지로 캡쳐 

 - 전체화면, 영역, 보이는 화면 등 다양한 캡쳐 방법

 - 박스, 화살표, 형광펜 기능, 블러 등 다양한 편집 기능 제공


다운로드 링크 :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awesome-screenshot-screen/alelhddbbhepgpmgidjdcjakblofbmce




아이콘을 클릭하면 다양한 캡쳐 방식이 나오게 됩니다. 

1. 모니터에 보이는 화면을 캡쳐. ddelayed capture는 캡쳐를 시작한 후 3초뒤 보이는 화면을 캡쳐하게 됩니다. 

2. 사각형 영역을 드래그로 표시해서 선택한 부분만 캡쳐

3. 스크롤을 자동으로 내려 페이지 전체를 캡쳐

4.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드래그해서 올리면 간단한 편집 가능

5. 1~4번은 크롬안의 내용 부분을 캡쳐한다면 5번은 모니터에 보이는 전체를 캡쳐



사용방법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직접 한번씩 사용해 보신다면 손쉽게 사용하실 수 있을겁니다. 



캡쳐한 화면을 Awesome Screenshot에서 제공되는 편집툴을 사용해서 저장해봤습니다. 

내용은 한 뉴스기사를 캡쳐했으며 어버이날 바고싶은 선물 1위에 대한 내용입니다. (1위는 현금이라네요 ^^)



3위는 블러처리로 지웠는데 효도관광이라고 합니다. 밑줄, 박스, 형광펜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편지나 카드가 2위인것을 주목하셔야 겠습니다. 부모님 용돈과 함께 진심어린 감동의 카드 같이 보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어디서 많이 보던 화면이죠 ^^

크롬을 사용할 때 손쉽고 빠른게 VPN을 우회해서 접속하는 확장프로그램을 소개해드립니다. 



ZenMate Security, Privacy & Unblock VPN

기능 : 크롬에서 VPN 우회하여 접속 가능하도록

다운로드 링크 :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zenmate-security-privacy/fdcgdnkidjaadafnichfpabhfomcebme






링크를 따라 설치하면 크롬 우측상단에 확장프로그램 아이콘이 생기게 됩니다.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Activate ZenMate를 클랙해서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원하는 국가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국가에 따라서 속도가 조금씩 차이나는것 같은데 직접 해보시기 바랍니다. 





Zenmate가 실행되면 아무리 기능이 좋다고 해도 인터넷 속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VPN우회 기능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아래 On/Off 기능을 통해서 종료하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프리미엄 기능도 있지만 가입/결제 없이 바로 VPN우회 기능을 크롬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것이 ZenMate의 큰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의 구글로고는 포르테 피아노를 발명한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탄생 360주년 로고입니다. 

구글에서 이미지를 플레이하면 영상이 나오게 됩니다.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1655~1731)는 대표적인 건반악기인 피아노(피아노포르테-pianoforte의 준말)의 발명가입니다. 



출처 : 구글 이미지 검색


1700년에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가 만든 피아노가 최초의 피아노이며 이 가운데 가장 오래된 1720년산이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었다고 합니다. 이 피아노는 건반 54개(4옥타브 반)로 제작되어 있습니다. 현재의 피아노는 건반 88개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둥둥 두둥! 둥둥 두둥!!

화려하지는 않지만 묘한 분위기와 리듬이 나오는 음악의 광고가 있습니다. 

삼성 스마트폰 사상 가장 아름다운 디자인이라고 언론에서 칭찬한 삼성 갤러시 S6 / 엣지 광고입니다. 



광고를 처음 봤을 때 중간에 나오는 타악기 리듬이 굉장히 인상적이었습니다. 오묘한 느낌의 노래와 매력적인 보컬. 그런데 어디서 들어봤나 찾아보니 과거에 어쌔신 크리드의 트레일러에 사용되었던 음악이었습니다. 

















이번 삼성 스마트폰의 디자인 어떤가요? 과거에 비해서 새련된 느낌은 더해진것 같고 아이폰과의 디자인이 비슷하다는 의견도 있는것 같습니다. 엣지의 경우는 호불호가 비교적 명확하게 갈리는듯 합니다. 디자인은 개인적 취향이므로 좋다 나쁘다 논하기는 어려운것 같습니다. 


Woodkid

광고에 사용된 Iron의 뮤지션인 woodkid는 놀랍게도 굉장한 능력자였습니다. 이름은 요안 르무안(83년생)이며 프랑스의 뮤직비디오 감독, 그래픽 디자이너, 싱어송라이터라고 합니다. 이런 부러운 능력자~



삼성 갤럭시 S6/엣지(Samsung Galaxy S6/Edge) 광고에서 사용된 Iron을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의 또 다른 유명한 노래 Run BOy Run도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의 구글 로고는 [지구의 날] 입니다 



오늘의 센스있는 구글로고는 자전하는 지구입니다. 


지구의 날은 1970년 4월 22일 미국의 상원의원 게이로 닐슨이 하버드 대학생 데니스 헤이즈와 함께 1969년 1월 28일 캘리포니아 산타 바바라에서 있었던 기름유출 사고를 계기로 지구의 날 선언문을 발표하고 행사를 주최한 것에서 비롯된 기념일입니다.

- 출처 : 위키백과 - 


캘리포니아 산타 바바라에서 있었던 기름유출 사고는 1969년 1월 28일 미국 정유회사인 유니언 오일 사의 원유 시츄작업 중 산타 바바라 남동쪽 8마일 부근에 있던 시추 시설에서 파열이 일어났고 그 갈라진 틈으로 원유 10만 배럴이 쏟아져 나오면서 인근 수백평방마일의 바다를 오염시키는 사건을 말합니다. 





출처 : 구글이미지검색


이번에 지구의 날 구글로고 관련 자료를 찾으면서 이런 끔찍한 사고를 계기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처음알게 되었습니다. 자연은 후손에게 빌려온 것 이라는 말처럼 다음 세대와 더블어 살아야 할 환경인데 모두 보호에 힘쓰고 책임감있게 대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요즘 저금리 시대라고 합니다. 

은행 예금 이자가 1%대에 머물러 있습니다. 물가상승비율을 3%라고 한다면 가만히 돈을 가지고 있어도 손해를 보는듯한 세상입니다. 


그래서 0.1%라도 더 주는곳을 찾아보지만 조건은 까다롭고 높은 수익을 주는곳은 위험도 동반하기 때문에 망설여지게 됩니다. 

국내 시장은 더욱 암울하여 수출도 저조하며 엔저 현상으로 국내 기업도 어려운 실정입니다. 게다가 달러가 오르고 있어 주식시장에서 많은 외국인들이 돈을 빼고 있어서 국내 주식시장 역시 지지부진한 상태입니다. 


뜨거웠던 해외투자 위안화 예금

그래서 해외로 눈을 돌리는 분들이 많은꺼라 생각되며 일때 단비같은 위안화 예금이 등장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위안화 예금은 쉽게 말하자면 위안화로 예금을 드는것이고 우리, 하나은행등에서 3%때 나름 높은 이자를 지급하며 환차익으로 더욱 많은 수익을 얻을것으로 기대되어 많은 사람들이 가입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18개월만에 위안화 예금이 감소세로 돌아섰다는 뉴스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외환 예금은 이자와 함께 환율에 따라서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말하면 위안화 가치가 떨어진다면 3%이자를 받아도 원금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는 말입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2년4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내린 후 위안화 약세의 여파로 위안화 예금 감소세로 돌아섰으며 내년에 추가로 내릴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어 앞으로 위안화 예금의 인기는 한동안 시들해질 전망이라고 합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재테크 방법은 "나렌드라 모디, 제2의 중국"과 관련있는 나라입니다. 

바로 세계 인구수 2위의 거대한 나라 인도입니다. 


올해 해외펀드 중 인도의 실적이 매우 눈부십니다. 


떠오르는 해외투자 인도 펀드

인도는 영어권 나라이면서 지식 수준도 높고 세계2위의 인구수를 자랑하는 많은 잠재력을 지닌 나라이만 정책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많아서 그동안 성장이 둔화된 상태였습니다. 기업이 진출할 때 인허가가 매우 늦어지는 등 어려움이 많았다고 합니다. 


최근에 나렌드라 모디가 총리로 된 이후로 정책적으로 굉장히 많은 변화를 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이후 미국, 일본, 중국의 세계적인 기업들이 발빠르게 투자를 시작했고 그 결과로 인도펀드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지금 상황이라면 위안화 하락을 눈앞에 둔 위안화 예금보다는 인도 펀드를 관심있게 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인도 펀드에 투자할것인가??

지금 인도주식 시장은 올해초에 비해서 상당히 많이 오른 상태입니다. 너무 오른것이 아닌가 하고 투자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있을텐데요.라디오나 신문 등 언론에서 이야기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초에 비해서 상당히 많이 오른 상태는 맞으며 당분간은 장담할 순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오늘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단기로 투자하시는 분들은 잘 고려해 보시고 장기로 투자는 수익일 날 가능성이 높다라고 예상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이제 인도 펀드를 알았으니 ^^ 본인이 거래하는 증권사 등에서 인도 펀드를 주의깊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직접 투자를 원하시는 분들은 미국에 상장 된 인도 회사를 찾아서 투자해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인도가 좋은줄은 알겠는데 아직 잘 모르겠다. 얼마를 해야할지. 언제까지 해야할지 등 재테크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전문가와 상담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내가 아무리 공부해도 직업으로 하시는 분들을 따라가기는 어렵기 때문문에 기본지식을 습득하신 분들도 다시한번 자세하게 상담해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해당글은 재테크 관련 대가성 광고글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